농사를 지을 사람은 부족해지는데 기후 변화는 심각해지고 자유무역협정(FTA) 등 다자무역체제에서 식량 주권이 위협을 받으며 농업·농촌은 위기에 처해있다.
|
허태웅 농촌진흥청장은 15일 이데일리와 인터뷰에서 위기 해소를 위한 농업·농촌의 화두로 ‘디지털화’를 꼽았다. 그는 “고령화 추세와 노동력 부족, 지역 소멸론이 대두되는 상황에서 지속 가능하면서도 식량 안보 측면에서 제 기능을 유지하기 위한 정책을 펼쳐야 하는 상황”이라며 “예전엔 감과 경험으로 농사를 지었다면 이제는 데이터 분석에 의한 농사만이 살 길”이라고 강조했다.
농진청은 지난해 허 청장 취임 후 디지털농업추진단을 발족했으며 올해 1월 디지털 농업 기본계획, 3월 주작목별 추진 5개년 계획을 세우는 등 디지털 농업에 공을 들이고 있다.
지금까지 디지털농업은 시설·원예·축산 스마트팜 일부에서 노동력을 줄이는 정도 역할에 그쳤지만 앞으론 노지 작물 등 전반으로 확산해 생산력 증대에 기여해야 한다는 판단이다. 그동안 레드오션으로 치부되던 농업에 4차 산업혁명이 접목돼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내는 ‘퍼플오션’으로 불리고 있기도 하다.
허 청장은 “실제 현장에서 실증을 해보니 (디지털 농업을 통해) 소득은 30~40% 더 올리고 품질 개선은 20~30% 높아지는 성과가 나왔다”며 “이미 기상·토양·생육 데이터를 다 갖고 있기 때문에 이를 잘 활용해 계속 딥러닝하면서 자동화 단계서 지능화 단계까지 발전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식량 안보 차원에서도 디지털농업과 기술 개발을 통한 국내 생산 기반 확보는 시급하다. 국내 곡물을 포함한 식량 자급률은 22%에 그치는 상황에서 코로나19에 따른 교역 차질로 곡물값이 오르고 덩달아 축산물 가격도 상승하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
|
농진청은 한국형 품종 개발을 통해 주요 농작물의 국산화를 추진 중이다. 허 청장은 “기후 변화와 안정적인 수량 확보에 문제가 많은 해외 품종 대신 병충해 저항성이 강하고 품질이 좋은 국산 품종으로 바꿔나가는 중”이라며 “벼는 해들 품종을 개발해 자급률을 높이고 밀은 우리 토양·기후에 맞는 황금알 등 3종을 육종종하고 재배 기술도 확립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국산 품종이 늘어나면 자체 생산 기반을 확보할 뿐 아니라 비용 절감 효과도 있다. 허 청장은 “예전엔 (해외 품종) 로열티를 200억원 정도 지출했는데 최근엔 97억원으로 줄었고 해외로부터 27억원의 로열티를 받고 있기도 하다”며 “대체 품종을 개발해 재배법을 확립할 뿐 아니라 개도국 등으로 전파하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디지털 농업을 이끌 청년농업인 육성도 정부 차원의 중요한 정책이다. 현재 시설농업 위주 스마트팜에 청년농들이 몰려 있지만 기술 개발을 통해 노지 분야로도 진출이 필요하다고 허 청장은 지적했다.
이에 농진청은 올해 7월 청년농업인육성팀을 신설해 관련 지원 사업과 교육을 확대하고 있다.
허 청장은 “아이들도 밥을 먹기 전까지 우유를 주는 것처럼 청년농들이 정착하기 위해 지속 지원하는 정책이 필요하다”며 “청년농 경쟁력 제고 사업을 확대 추진하고 정착에 필요한 기술·시설투자 등 플랫폼을 구축해 개발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근본적인 농업의 발전을 위해선 우리 농산물 소비 활성화가 필수다. 허 청장은 “식량 안보와 관련한 상황이 국제적으로 변하는 상황에서 국내 먹거리 생산을 늘려야 안정적 식량 공급이 가능하다”며 “농업인들이 생산하는 농산물을 애용해야 고품질 농산물을 저렴하게 생산·공급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제작 지원: 2021년 FTA이행지원 교육홍보사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