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에 환경부는 최근 수돗물 위생관리 종합대책을 마련하고 추진에 나섰다. 1411억원을 투입해 정수장에 생물체가 침입해 번식하지 않도록 개선하는 게 주요 내용이다. 특히 수돗물 위생 기준에 이물질이 없다는 이유로 수질에 문제가 없다고 대처해 논란이 일었던 수질 기준도 손본다. 또 이번 수질 논란이 시작된 SNS나 맘 카페 등 각종 온라인 커뮤니티의 민원도 적극적으로 대응할 방침이다.
이어 지난달 역대 최장 기간 장마로 인해 일부 지역에서 홍수로 큰 피해를 입으면서 물 관리를 도맡는 환경부 역할도 시험대에 올랐다. 특히 기후변화가 이어지면서 앞으로도 상상할 수 없는 수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철저한 사전 대비가 필수라는 지적도 끊이지 않는다. 이에 지난달 기후위기대응 홍수대책기획단을 구성해 정부의 홍수대응 능력이 충분한지 분석하고 관련 법령도 정비할 예정이다. 조 장관은 “여전히 하천과 댐 관리가 분리돼 물 관리 일원화를 못 하고 있다”며 “환경부가 하천까지 관리할 수 있도록 하천법과 그에 따른 정부조직법이 바뀔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전했다.
특히 이번 홍수 사태에 가장 논란이 컸던 4대강 보의 홍수예방 효과에 대해서도 결론을 정해 놓지 않는 검증을 실시할 방침이다. 조 장관은 “이제까지 나온 결과로는 보 자체가 홍수예방 효과가 없는 것으로 분석된다”며 “4대강 보는 특히 준설과 제방보강으로 주변 물을 모아 두고 필요할 때 쓰기 위한 게 주목적이라 수위를 쉽게 낮추기 어렵다”고 전했다. 이어 “다만 지금까지 보의 홍수대비 효과는 간접자료를 가지고 검토한 것이기 때문에 철거와 존치라는 결론을 정해놓지 않고 실증 분석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안전한 물 관리와 함께 맑은 공기도 환경부의 핵심 과제다. 특히 겨울철 재난 수준까지 다다른 미세먼지 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다. 중국발 미세먼지를 포함해 국내 발생량, 기후변화로 인한 대기 정체 등으로 우리나라 미세먼지 농도는 미국, 일본, 영국 등 주요 선진국에 비해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이에 지난해부터 추진한 미세먼지 계절관리제도 올해는 더 강화해 추진할 방침이다.
특히 조 장관은 미세먼지 문제도 곧 기후변화의 연장선이라며 전 세계가 나서 푸른 하늘을 지켜내야 한다고 전했다. 이 같은 문제의식에 세계가 공감하면서 최근 우리나라가 제안한 푸른 하늘의 날이 9월 7일로 정해지면서 최초 유엔 기념일이 됐다.
조 장관은 “미세먼지 고농도는 미세먼지 많이 배출하는 게 주요 원인이지만 기후변화로 인해 바람이 불지 않거나 비가 내리지 않는 등 공기정체 심해져 대기 순환이 안 되는 것도 원인”이라며 “푸른 하늘의 날의 시작은 미세먼지지만 근본적인 문제와 해결은 기후변화 대응이라 전 세계적인 기념일로 채택될 수 있었다”고 전했다.
이어 “올해 12월부터 시행할 예정된 제2차 계절관리제를 지난 1차에 비해 보완 발전할 것”이라며 “첫 시행의 경험과 과학적 근거를 바탕으로 지역별 특성에 맞는 계절관리제 시행하고 그린뉴딜과 연계해 대도시 미세먼지 주범인 노후경유차를 퇴출, 저공해차로 대체하기 위한 근본적인 저감 정책도 추진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