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박창호 교수 "해수부, 인천 내항 시민들에 돌려줘야"

이종일 기자I 2019.06.13 06:15:00

박 교수 "무역항 쇠퇴…기능전환 필요"
마스터플랜 재개발 방향 부적절 비판
"내항 재개발 권한 인천시로 넘겨야"

박창호 세한대 항공해양물류학과 교수가 인천 남동구 고잔동 한 사무실에서 인터뷰를 하고 있다. (사진 = 이종일 기자)


[인천=이데일리 이종일 기자] “해양수산부는 더 이상 인천 내항을 관리하려고 하지 말고 인천시민에게 돌려줘야 합니다.”

박창호(59) 세한대 항공해양물류학과 교수는 인터뷰를 통해 “해수부 마스터플랜은 무역항을 지원하기 위한 것으로 시대에 맞지 않다”며 이같이 밝혔다. 박 교수는 마스터플랜을 조목조목 따지며 해수부 계획을 비판했다.

그는 “마스터플랜 과업목적은 도시와 함께 발전하는 물류·해양·관광거점 항만으로 도약과 상생발전에 기여한다로 제시돼 있다”며 “이는 도시기능을 중심에 둔 것이 아니라 기존 무역항을 그대로 유지시키려는 의도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국가기관시설인 무역항을 유지하면 주변 개발에 제약이 따른다”며 “내항은 무역항 기능이 쇠퇴했기 때문에 항만 고유 기능에 초점을 맞출 것이 아니라 도시지원 기능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필수 생활시설과 여가시설을 도입해 모든 시민에게 개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인천 중구 항동7가에 있는 내항은 1883년 대한민국의 3번째 국제항으로 개항해 물동량을 확대해갔지만 2000년대 들어 시설 이용률이 줄기 시작해 2005년 92.7%의 이용률이 2017년 49.3%로 반토막 났다. 현재 5만t 이하 소규모 무역선이 드나들고 있는 내항은 신항(연수구 송도동·2015년 개항) 등의 여파로 점차 경쟁력이 떨어지고 있다.

정부는 재개발 1단계 대상인 내항 1·8부두는 내년 무역항 기능을 종료하고 해양문화공간으로 조성할 계획이지만 나머지 2~7부두에 대해서는 유휴화(쓰지 않고 놀림)될 때 재개발한다는 방침을 세웠다. 항만업체가 2~7부두를 무역항으로 계속 운영할 경우 재개발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에 박 교수는 내항 전체 부두를 도시지원 공간으로 만들어야 한다며 반박했다.

박 교수는 “해수부는 여전히 내항을 무역항으로 두려고 한다. 마스터플랜 과업목적부터 첫 단추가 잘못 꿰어졌다”며 “쇠퇴한 항만은 이제 시민에게 돌려주고 도시와 어우러지게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전 세계 어디를 봐도 쇠퇴한 항만을 또다시 항만으로 재개발한 사례는 없다”며 “2~7부두를 무역항으로 두고 1·8부두만 재개발하면 도시기능을 제대로 갖출 수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오래된 내항의 무역항 기능을 모두 신항으로 이전하고 내항을 중구 원도심과 연계해 재개발해야 한다”며 “이번 재개발 컨셉은 도시로의 전환이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박 교수는 내항과 비슷한 규모로 재개발이 추진된 일본 요코하마 미나토미라이(항구의 미래)를 예로 들면서 “항구에서 부두와 조선소를 옮겨 첨단산업단지·문화공간으로 재생한 미나토미라이같이 내항도 도시기능 중심으로 바꿔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내항 재개발을 통해 원도심 활성화를 이뤄야 한다”며 “소규모 무역항을 살리는 것이 아니라 도시재생으로 중구 원도심의 경제 활성화와 시민 편의, 관광·레저를 중심으로 발전시켜야 한다”고 했다.

박 교수는 “무역항에 대한 미련이 남은 해수부가 내항 재개발 사업을 주관해서는 안 된다. 내항의 재개발 이익은 해수부가 가져갈 것이 아니라 시민에게 줘야 한다”며 “주택 장사를 하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재개발 사업을 맡아서도 안된다”고 주장했다. 이어 “내항을 시민에게 돌려주기 위해 해수부는 인천시에 재개발 권한을 넘겨야 한다”며 “인천시는 시민과 재개발 담론을 형성하고 거버넌스를 구축해 흔들림 없이 사업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내항 전체 부지 300만㎡ 중에서 65%는 인천항만공사 소유이고 12.7%는 국유지이다. 나머지 22.3%는 사유지 등이다.

◇박창호 교수 이력

△대구 출생 △한국해양대 졸업 △인천시 항만공항물류특별보좌관 △㈔한국항만경제학회 부회장 △㈔한국항해항만학회 이사 △재능대 교수 △㈔한국수상레저안전협회장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