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지만 규제 허들을 허물 것으로 기대를 모았던 유통법 개정안은 거대 여당의 정치적 행보에 막혀 소관 상임위 문턱 조차 넘지 못한 상태다. ‘재래시장의 적은 대형상권’이라는 구시대적 프레임에 여전히 갇혀 있다는 것을 또다시 방증한 셈이다. 유통업계는 여당 내 기류가 확 바뀌지 않는 이상 대기업에 족쇄를 채운 유통법(2012년 4월부터 대형마트 영업시간·의무휴업 규제 시행) 개정은 불가능하지 않겠느냐고 허탈해 하고 있다.
|
유통 대기업을 가로막고 있는 사이 네이버(쇼핑), 쿠팡 등과 같은 이커머스 기업은 거대 유통 플랫폼으로 성장했다. 신선식품을 빠르게 배송하는 새벽배송 등을 앞세운 이들은 대규모 영업적자에도 불구하고 조 단위의 기업가치를 평가받으며 상장(IPO)을 통해 사세를 확장하고 있다.
반면 규제에 막힌 기존 유통기업들은 급변하는 이커머스 시장에서 판로를 찾지 못한채 신음하고 있다. 매출 및 영업이익 감소 추세가 지속되면서 국내 대형마트 주요 3사인 이마트, 홈플러스, 롯데마트의 점포 수는 2017년 423개를 기록한 이후 올 상반기 기준 409개로 줄었다. 점포가 지속적으로 줄면서 대형마트 종사자들도 언제 내몰리지 모를 고용불안에 떨고 있다. 한국유통학회에 따르면 평균 매출 500억원 규모의 대형마트 점포 1곳이 폐점할 경우 총 1374명의 고용이 감소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유통 대기업들이 이커머스 기업들에 비해 ‘역차별’을 당하고 있다”는 볼멘소리가 나올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한 유통업계 관계자는 “코로나19 팬데믹과 함께 온라인 쇼핑이 가속화되면서 대형마트 의무휴업의 실효성에 대한 의문이 커지고 있다”며 “이커머스로 급변하는 유통환경에서 기울어진 운동장을 바로 잡기 위한 시대착오적 규제 개선이 절실한 상황”이라고 짚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