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일 업계에 따르면 정부는 ‘석유화학산업 경쟁력 강화 TF’ 발족시킨 후 현재 국내 석유화학 업체들과 릴레이 회의를 진행하고 있다. 산업부 관계자는 “석유화학은 자동차나 반도체와 달리 밸류체인이 길고 NCC(나프타크래커) 업체만 9개가 될 정도로 업체들이 많다”며 “현재 폐플라스틱, 용수처리 등 각 주제에 맞게 기업들과 회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아직 어떤 지원 정책을 펼쳐야 할지 대략적으로 정해진 바도 없다는 입장이다. 이 관계자는 “킥오프 회의를 하면서 기업들이 원하는 정책 수요를 발굴해달라고 요구했다”며 “이와 관련해 확정된 것은 없고 추후 부처별로 협의도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TF에 소속된 한 관계자는 “여름휴가가 끝나고 난 뒤 8~9월께는 돼야 가이드라인이 나올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앞서 정부는 지난 4월 LG화학, 롯데케미칼, SK지오센트릭 등 국내 민간 화학업체들과 산학연 전문가들로 구성된 ‘석유화학산업 경쟁력 강화 TF’를 출범시켰다. 민간기업 스스로 공급 과잉 설비를 매각하거나 처분하는 작업이 쉽지 않아 이를 정부 차원에서 유도하기 위한 것으로 전해진다.
일본과 미국의 과거 산업구조 재편 사례를 참고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미국은 1970년대 원가, 기술력 등 경쟁력 약화 현상이 발생하자 대형 석유업체들이 대거 인수합병(M&A)를 진행한 바 있다. 일본도 마찬가지로 후발주자에 경쟁력이 뒤처지자 정부 주도로 과잉설비를 구조조정한 사례가 있다.
현재 국내 석유화학기업들이 처한 상황은 이보다 더 풀기 어려운 것으로 파악된다. 업계 관계자는 “정부주도로 구조조정을 실시한 일본은 내수 시장 경쟁이 심하지 않았다”며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는 최근에도 석유화학 설비를 증설하는 등 구조조정이 진행되더라도 내수 경쟁을 완화하긴 어려워 보인다”고 말했다. 구조조정을 진행하더라도 공급과잉 해소 효과가 크지 않을 수 있다는 분석이다.
일각에선 과도한 구조조정은 지양해야 한다는 의견도 내놓는다. 수익성이 떨어지는 사업을 팔아야 하겠지만, 핵심설비가 대거 팔려나갈 경우 국가 핵심 기간산업의 석유화학산업의 공급망이 무너질 우려가 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경제 안보 및 공급망 안정화 차원에서라도 국내 석유화학업체들이 범용 사업을 일부 유지할 수 있도록 정부 지원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조용원 산업연구원 소재·산업환경실 연구위원은 “업스트림이 경제성이 없다고 돈이 되는 다운스트림으로만 사업을 재편할 수는 없다”며 “고부가가치 제품 원료도 어차피 업스트림에서 나오기 때문에 업스트림을 보유하고 있어야 안정적인 공급망 유지가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