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업은행은 노조가 추천하는 인사를 사외이사에 앉히는 노조추천이사제 도입 가능성이 높은 곳으로 꼽혔다. 지난해 9월 공공기관 중 처음으로 수출입은행에서 노조추천이사가 탄생하면서다. 수출입은행 사외이사 선임은 행장이 제청하면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임명한다. 당시 홍남기 부총리가 노조추천이사를 임명한 만큼 금융위 역시 이를 반대할 이유가 없다는 관측이 지배적이었다.
하지만 대통령 선거 이후 분위기가 달라졌다는 게 금융권 안팎의 분석이다.
윤종원 기업은행장은 노조추천이사제 도입에 긍정적이지만 아직 금융위에 후임 사외이사 후보를 제청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윤 행장은 지난 2020년 1월 취임 당시 노조와 만나 노조추천이사제 도입 추진을 약속했다. 이에 따라 기업은행 노조는 3월초 법조계·노동계·학계 출신 인사 3명을 사외이사 후보로 추천했다.
|
기업은행 자회사는 공공기관운영법상 기타공공기관에 해당하는 기업은행과 달리 민간 회사다. 이들 회사의 CEO도 이사회와 주주총회를 거쳐 선임한다.
금융권의 한 관계자는 “기업은행의 자회사는 사실상 민간회사지만 기업은행이 최대주주로 있다보니 사실상 정부 입김에서 자유롭지 않다”며 “이 때문에 내달 출범하는 새 정부 눈치를 보는 것 아니냐는 얘기가 나오고 있다”고 분위기를 전했다.
하지만 자회사의 CEO 인선이 늦어질수록 자회사 경쟁력이 약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또 다른 금융권 관계자는 “CEO 교체기엔 임원 및 주요 부서장 인사에 대한 예상으로 뒤숭숭한 분위기가 이어질 수밖에 없다”며 “다른 민간 금융회사와 경쟁을 벌여야 하는 기업은행 자회사로선 신규 사업 등 성장 동력이 떨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한 금융 공공기관 관계자는 “새 정부가 출범하고 금융위원장을 비롯한 금융위 주요 보직에 대한 인사와 공공기관장 등의 인선을 마친 후에 기업은행 사외이사 등의 후속 인사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