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지난 20일 상하이종합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0.92% 하락한 3169.52에 거래를 마쳤다. 이달 하반기 들어 2.3% 하락한 수준이다. 홍콩H지수는 같은 날 0.28% 내린 6364.12에 마감해 하반기 들어 3.4% 빠졌다.
올해 2분기 들어 주택경기 침체와 수요 부진이 심화되면서 중국의 구조적인 위험 요인이 수면 위로 드러나고 있다. 2분기 중국의 경제성장률은 6.3%로 예상치(7.1%)를 크게 하회했고, 기대했던 리오프닝(경제활동 재개) 효과는 옅어졌다.
|
◇커지는 신용 위험
하반기 금융시장이 주시하는 주요 중국 리스크로 삼성증권은 신용 위험, 고용, 미·중 분쟁을 거론했다. 우선 중국의 크레딧 리스크는 △공급 과잉 제조업 △부동산 개발업체 △지방정부 부채를 들 수 있는데 경기 둔화로 인해 부동산과 지방채무 위험이 부각됐다. 중국 비금융기업의 부채 규모는 국내총생산(GDP) 대비 158.2%로 글로벌 주요 국가 중에서 가장 높다.
전종규 삼성증권 연구원은 “중국의 부동산 침체가 심화될 경우 대형 개별 기업의 채무불이행과 더불어 부동산 버블 붕괴와 크레딧 리스크로 전염될 수 있다”며 “7월 경기부양책의 규모와 효과를 봐야 한다”고 말했다.
다만 완다 사태에도 불구하고 차이나 크레딧 리스크는 단기적으로 통제 가능한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했다. 중국 정책당국이 부동산 업체에 대한 유동성 공급 확대에 나서고 있고 통제 가능한 수준에서 크레딧 디폴트 규모를 제한하고 있어서다.
문제는 경기 둔화다. 7월 정부의 부양책에도 불구하고 주택경기 침체와 수요 둔화가 더 이어질 우려가 있다. 그렇게 되면 임계점에 도달한 부동산 업체와 지방정부 채무의 연쇄적인 디폴트 전염이 현실화될 가능성이 아직 남아 있다.
◇30년 만의 고용위기
중국의 ‘고용대란’은 1989년 천안문 사태 이후 30년 만에 부각되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은 서비스업, 자영업, 청년 고용 절벽을 만들었고, 상반기 중국 소비가 이례적으로 위축한 데도 영향을 미쳤다. 고용시장의 양극화 현상 해소가 과제로 꼽힌다.
전 연구원은 “제조업과 저가 노동력은 구인난에 빠진 반면에 고부가가치 업종과 청년 인력의 구직난이 심화되고 있다”며 “리오프닝 이후 서비스 지출이 증가하면서 서비스·자영업의 고용 회복이 확인되고 있으나 중국의 구조적인 고용 양극화가 해소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고부가가치 제조·서비스업의 육성과 청년실업률 해소가 관건”이라고 덧붙였다.
◇미·중 첨단기술 전쟁
미·중 분쟁은 진행형이다. 6월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과 7월 옐런 미국 재무장관의 중국 방문 이후 미중 고위급 회담 채널이 복원됐지만, 하반기 첨단 기술 중심의 대립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미국은 패권에 대한 안보(군사·기술·에너지)를 최우선 가치로, 중국을 견제하고 고립시켜 첨단 기술전쟁에서 우위를 유지하고 공급망에서 중국을 배제하는 전략을 선택했다. 중국은 중동·아프리카·아세안·브릭스(BRICS, 브라질·러시아·인도·중국·남아프리카공화국)·유럽까지 확장적 대외정책을 추진 중이다. 아울러 시장 개방·경제 협력 강화, 거국적인 인적자원과 자본을 첨단 기술 분야에 투입하는 자립자강(自立自强) 정책을 병행하고 있다.
전 연구원은 “미·중 패권전쟁은 방향보다는 속도의 문제로 하반기 분쟁 강도를 주목한다”며 “핵심 변수는 정치 이벤트로, 내년 1월 13일 대만의 총통선거 이후 내년 미국의 가을 대선까지 미·중 분쟁의 강도는 다시 높아질 수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