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데일리 신하영·김형환 기자] “지역 산업과 인재 양성이 연계돼야 지방대가 특성화될 수 있다. 학령인구 감소로 위기를 맞고 있는 지방대들은 지역 산업과 연계된 특성화 전략으로 활로를 찾아야 한다.”
학령인구 감소에 따라 벚꽃 피는 순서로 대학들이 문을 닫을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이배용 국가교육위원회(국교위) 위원장은 지역 산업과 지방대의 인재양성을 연계하는 전략만이 지방대가 살 수 있는 길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국교위는 지난달 17일 8차 회의를 통해 5개 특별위원회(특위)를 구성하기로 결정했다. 2025년 고교학점제 전면 시행을 앞두고 논의 중인 대입제도 개편을 비롯해 △지방대 활성화 특위 △전인교육 특위 △직업·평생교육 특위 △미래과학인재양성 특위 등이 이르면 이달 말에 설치된다.
특위가 구성되는 5개 분야는 국교위가 ‘긴급하고 중요하다’고 판단한 교육 의제들이다. 해당 분야의 전문가들로 구성될 특위는 국교위가 다루는 중장기 교육정책 수립에서 전문적 검토와 자문을 지원하게 된다.
전국 4년제 대학 협의체인 한국대학교육협의회(대교협) 회장(2008~2009년)을 역임한 이 위원장은 지방대 살리기에도 관심을 나타냈다. 이 위원장은 “저출산으로 인한 학령인구 감소로 정원 채우기도 어려운 게 지방대의 현실”이라며 “서울·수도권 관점에서 지방대 문제를 바라봐선 안 된다”며 직접 현장에서 해법을 찾겠다고 밝혔다.
이 위원장은 “시도지사협의회 회장 지자체인 경상북도를 국교위원들이 방문, 도지사와 대학·전문대학 총장, 지역 산업계 관계자 등을 만날 것”이라며 “이는 지역과 소통하고 현장 의견을 듣기 위한 첫걸음이며 향후 전라·충청·강원·제주지역에 대해서도 현장 방문 계획을 갖고 있다. 탁상공론을 지양하고 현장에서 해법을 모색하겠다”고 말했다.
통계청에 따르면 우리나라 만 18세 인구는 2023년 44만2000명에서 2038년 29만1000명으로 급감할 전망이다. 대학교육연구소가 지난해 1월 공개한 ‘대학 구조조정 현재와 미래’ 연구보고서(정의당 정책연구)에서도 대학입학자원(고졸자·재수생 등)은 2021년 약 43만명에서 2040년 28만명으로 급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수도권 대학과 지방 국립대 입학정원이 약 26만명이란 점을 감안하면 지방 사립대 전체가 몰락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수치다.
이 위원장은 “지방대가 인재를 양성해도 서울로 빠져나가는 수도권 집중현상이 여전하다”며 “지역균형 발전 정책은 지방대 활성화와 함께 추진돼야 하며 지방대 인재양성이 지역 산업과 연계되도록 특성화돼야 지방대가 활성화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국교위원들이 현장 방문을 통해 지방대 살리기에 일조하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