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유럽시장서 급성장하는 K뷰티, 친환경에 발목

김경은 기자I 2022.11.30 06:00:00

플라스틱 포장재 규제 강화 수입기업에도 적용
"현지 기준 못맞추면 경쟁력 잃어"

[프랑크푸르트=이데일리 김경은 기자] “독일의 바이어들은 환경 규제가 논의가 나오면 법안 발효 이전에 선제적으로 요구합니다. ”

정부 정책과 환경 규제 법안의 발효에 앞서 독일 시장이 더 빠르고 까다로운 기준을 요구하고 있다는 말이다.

플라스틱 관련 규제가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상황에서 독일 시장에 자리잡은 친환경 소비는 실제 국내 기업의 경쟁력 악화로 이어지고 있다는 것이 현지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박준식 코트라 프랑크푸르트무역관은 독일 프랑크푸르트에 위치한 코트라 본사에서 지난달 이데일리와 인터뷰를 통해 “독일의 바이어들은 플라스틱을 대체할 포장재가 있는지 여부를 염두에 두고 구매에 나선다”고 전했다.

독일은 신포장재법(VerpackG) 개정으로 올해 7월부터 아마존 등 온라인 유통기업 입점하는 판매업체는 물론 수입업자에게도 중앙 포장재 등재 재단(ZSVR) 등록을 의무화했다. 독일의 제조·유통업자와 동일하게 포장재 재활용 의무할당량을 기업 스스로 달성해 입증해야 한다. 위반시 최대 20만유로(한화 약 3억원) 또는 영업정지 등의 제재가 가해진다.

독일 프랑크푸르트 쇼핑몰 매장 내에 운영 중인 한국 화장품 전문점에서 판매중인 국내 화장품. 독일 현지 판매용 포장 용기로 대체해 판매하고 있는 제품도 있고, 국내 판매 용기를 그대로 판매하는 제품도 있다. [사진=이데일리 김경은 기자]
독일 시장의 높은 환경 기준은 당장 독일 진출 기업에는 무역장벽화하고 있다는 전언이다. 국내 기업 대상 인증대행업체인 레벤코의 서승표 이사는 “독일의 환경규제가 끊임없이 추가되는 상황은 특히 기업 규모가 작을수록 더 부담으로 작용한다”면서 “무엇보다 독일의 윤리소비가 미치는 영향력은 전반적”이라고 전했다.

특히 최근 유럽에서 급부상하고 있는 K-뷰티의 경우 직접적 타격이 예상된다는 분석이 나온다. 관세청에 따르면 한국 메이크업 제품의 독일 수출금액은 2021년 기준 전년 대비 63.6% 성장했다. 그런데 지난해 국내 유통 화장품 포장재의 64%는 ‘재활용 어려움’ 등급 판정을 받았다. 수출 무대에서 중국 등 아시아 시장을 겨냥해 화려한 포장재 개발에 집중한 결과다.

일부 국내 기업은 독일의 포장재 기준에 따라 용기를 간소화했으나, 아직 대부분은 한국에서 생산한 제품을 그대로 판매중이다.

실제 한국과 독일에서 판매되는 제품의 포장재를 비교해보면 재활용 가능성과 재생원료 사용 비중에 있어 확연히 차이가 있다. 유니레버와 로레알의 포장재 재생원료 사용 비중은 지난해 기준 각각 17, 21%에 달한다. 이마저도 기업이 제시한 목표치에 미달하고 있어 사회적 압박이 가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반해 우리나라에서 판매되는 제품의 재생원료 사용 비중은 제로(0)에 가깝다. 아시아권의 재활용 플라스틱에 대한 낮은 수요가 판매전략에도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문제는 일회성에 그치는 벌금 부과가 아니라 이로 인해 유사 제품 수입업체나 제조사에도 타격이 미칠 수 있다는 것이 코트라의 분석이다.

이예나 코트라 프랑크푸르트무역관은 “유럽의 그린딜이나 공급망 특별법, 신포장재법은 결국 유럽의 스탠다드를 따르라는 것”이라며 “유럽의 생산기준을 역외기업에도 요구하는 것에 나아가 생산기지를 이전하라는 압박까지 가해지고 있는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독일(오른쪽)에서 판매되는 제품의 포장 용기는 재생원료를 100% 사용한 것과 달리 한국(왼쪽)에서 판매되는 제품은 석유로 만들어진 플라스틱 포장재를 사용하고 있다. 두 제품 모두 피앤지(P&G)사의 샴푸다. [사진=이데일리 김경은 기자]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