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전에 전체 강의 가운데 고작 1% 정도만 온라인 강의로 채워왔던 상당수 대학들로서는 온라인 강의를 제대로 만들어서 운영했던 경험이나 인프라가 턱없이 부족하다보니 갑작스럽게 늘어난 온라인 강의에 대처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
◇작년 온라인 강의비율 1% 남짓…운영 경험 턱없이 부족
지난 2일 교육부는 코로나19 확산 우려에 따라 마련한 `2020학년도 1학기 대학 학사운영 권고안`을 발표했다. 코로나19 사태가 안정될 때까지 등교를 하는 집합수업 대신 원격수업, 과제물 활용 수업 등 재택수업을 실시하라는 내용이었다. 구체적 방식은 대학별로 여건에 맞게 자율적으로 정하도록 했다. 개강을 1~2주 연기했지만 코로나19 확산세가 계속되자 추가적인 조치를 취한 것.
하지만 상당수 대학은 원격수업 준비에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 그동안 원격수업 학점 상한(20%)이 있다보니 원격강의를 활성화하겠다는 의지를 갖지 못했던 대학들은 인프라와 운영 능력 부족으로 인해 코로나19 사태 확산에 따른 교육부의 갑작스러운 상한 완화에 제 때 대응하기 수월치 않은 상황이다.
4일 한국대학교수협의회가 발표한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경희대, 성균관대, 중앙대, 한양대, 고려대, 동국대, 건국대, 국민대 등 중국 유학생 2000명 이상 대학을 포함해 213개 일반대학의 지난해 온라인 강의 비중은 0.92%로 1%도 채 안되는 실정이었다. 지난해 오프라인 강의실 강좌는 총 58만8450개였던 반면 온라인 강좌는 총 5456개에 불과했다.
고려대와 연세대, 이화여대는 0.1%, 서강대는 온라인 강의가 아예 없었다. 중국 유학생 1000명 이상 17개 주요 대학 중에서도 온라인 강의 비중이 1%를 넘는 대학은 경희대, 성균관대, 동국대, 건국대, 홍익대, 상명대 등 6곳 뿐이었다.
이들 대학의 지난해 1학기 강의 수는 적게는 1200여개, 많게는 4200개가 넘는다. 대부분 2000~3000개 수준인데, 대학들은 개강 후 2주 동안 해당 강의들을 모두 온라인 강의 등으로 대체해야 한다.
◇“정부, 동영상 강의 운영 위한 실질적 대안 마련해야”
중국 유학생 1000명 이상인 한 사립대 관계자는 “그간 온라인 강의를 거의 안 해왔기 때문에 관련 인프라가 없다고 해도 무방한 수준”이라며 “네트워크망 구축, 촬영 장비 마련, 기타 비용까지 합하면 이번에만 수 억원은 기본으로 투입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호소했다.
젊은 교수를 제외한 대부분 교수들이 영상 제작에 미숙하다는 점도 문제다. 또다른 사립대의 한 교수는 “인프라 부족도 있지만 대부분 교수가 촬영이나 제작 자체를 해본 적이 없다는 것도 문제”라며 “더욱이 이를 갑작스럽게 짧은 시간 내에 준비해야 한다는 게 힘든 점”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조교 등 지원 인력을 통해 일일이 도와줘야 하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현재 주요 대학들이 운영하고 있는 온라인 강의 시스템의 안정성에 대한 지적도 나온다. 한교협은 “45개 주요 대학은 A사 온라인 강의 시스템을 이용하고 있다”며 “하지만 많은 학생이 동시 접속해 영상을 보거나 활발히 온라인 토론을 할 경우에도 안정적인지는 검증해본 적이 없다”고 지적했다. 특히 일부 주요대학을 제외하면 대부분 자체적인 온라인 강의시스템 서버를 보유하지 않아 동영상 강의 운영이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는 점도 문제로 꼽히고 있다.
이에 따라 교육부는 대학의 원격수업 지원 및 원격수업의 질(質) 담보를 위해 가칭 원격교육운영자문위원회를 구성하고 원격교육지원센터를 지정·운영한다는 방침이다.
그럼에도 한교협은 온라인 강의 준비와 운영을 위해 교육부가 보다 실질적인 동영상 강의 운영 대안을 마련할 것을 요구했다. 한교협은 “중국 당국은 일사분란하고 체계적으로 각 대학의 온라인 동영상 강의를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다”며 “교육부는 동시접속 운영이 가능한 네이버, 다음 등 주요 포털과 EBS, KERIS(한국교육학술정보원), 실무경험이 풍부한 대학 관계자들과 한시적인 TF를 운영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