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 핵심 상장사 뜯어보니…유동성 경직, 차입 부담 확대

이건엄 기자I 2024.11.26 06:20:00

[롯데그룹 위기 분석]②
롯데쇼핑·케미칼·지주·웰푸드 유동비율 59%
단기 비중 50% 육박…만기 대응력 부족 우려
크레딧 불확실성 큰 롯데그룹…대응력 ‘비상’

[이데일리 마켓in 이건엄 기자] 롯데케미칼의 회사채에서 기한이익상실(EOD) 사유가 발생하면서 롯데그룹 전반에 대한 신용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 크레딧 시장에서는 이같은 이벤트로 인해 롯데그룹 전체가 위기에 빠질 가능성은 크지 않다고 보고 있지만, 지주사 체제에서 기둥 역할을 하고 있는 롯데지주와 롯데케미칼·롯데쇼핑·롯데웰푸드의 유동성이 악화한 상황에서 차입구조마저 단기에 집중돼 있는 탓에 리스크가 상당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롯데의 주력 사업인 화학과 유통이 업황 악화로 반등이 쉽지 않다는 점에서 계열사 매각 등 구조조정을 통해 유동성을 확보하고 차입 부담을 줄여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 롯데그룹 핵심 상장사 단기 상환능력 악화

25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롯데지주(004990)와 롯데쇼핑(023530), 롯데케미칼, 롯데웰푸드(280360) 등 그룹 내 핵심 상장사 4곳의 3분기 말 별도 기준 유동비율은 59.3%로 전년 말 69% 대비 9.7%포인트(p) 하락했다. 총 유동자산과 유동부채는 각각 9조4112억원, 15조8773억원이다. 같은 기간 유동자산은 5.2% 줄어든 반면 유동부채는 10.4% 늘었다.

유동비율은 단기 현금동원력을 나타내는 지표로 최소 150% 이상을 적정 수준으로 판단한다. 유동비율 100% 이하는 유동자산이 유동부채보다 적다는 뜻으로 모든 유동자산을 현금화하더라도 부채 상환이 제한적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이데일리 김정훈 기자]
롯데지주와 롯데쇼핑, 롯데케미칼, 롯데웰푸드는 지주사 체제로 전환한 롯데그룹 내에서 기둥 역할을 하고 있다. 롯데쇼핑과 롯데웰푸드는 각각 롯데그룹의 핵심인 유통과 제과 및 빙과류 부분의 핵심 회사다. 롯데케미칼은 롯데지주의 핵심 계열사이면서 유동성 위기를 겪었던 롯데건설의 최대주주이기도 하다.

업체별로는 롯데지주의 유동비율이 24%로 가장 낮았고 롯데쇼핑도 39.8%를 기록해 뒤를 이었다. 최근 14건의 회사채에서 기한이익상실 사유가 발생한 롯데케미칼의 유동비율도 85.2%로 기준치를 크게 밑돌았다. 그나마 롯데웰푸드가 119.3%를 기록해 유일하게 100% 이상을 유지했다.

◇ 차입금 의존도 30%대…적자 지속 우려

반면 롯데지주와 롯데쇼핑, 롯데케미칼, 롯데웰푸드 등 그룹 내 핵심 상장사의 3분기 말 별도 기준 차입금 규모는 총 17조4909억원으로 전년 말 17조3011억원 대비 1.1% 증가했다. 총 자산 대비 차입금 비율을 나타내는 차입금의존도는 같은 기간 29.9%에서 30.2%로 0.2%p 상승했다. 평균 차입금의존도는 32.3%로 나타났다.

신용평가업계에서는 적정 차입금 의존도를 20~30%로 판단한다. 차입금의존도가 높으면 이자를 비롯한 금융비용이 커져 수익성이 나빠질 수 있다. 이는 지속된 적자로 현금 창출에 어려움을 겪는 롯데케미칼에 더욱 뼈아플 수밖에 없는 부분이다.

세부적으로 보면 롯데지주의 차입금의존도가 가장 높았다. 롯데지주의 차입금의존도는 올해 3분기말 별도 기준 42%를 기록했다. 전년 말 43.2% 대비 1.2%p 내렸지만 적정 수준과 비교하면 10%p 이상 높은 수준이다.

현금창출력이 제한적인 지주사 특성상 관계사 지원과 지분 확보 과정에서 차입금 부담 확대가 불가피했다는 분석이다. 여기에 전방위적으로 확산하고 있는 롯데그룹의 불확실성이 롯데지주의 차입금 부담을 키웠다는 해석도 나온다.

롯데케미칼과 롯데웰푸드의 올해 3분기 말 기준 차입금의존도는 각각 30%, 31.8%를 기록했다. 롯데케미칼의 경우 현재 상황 대비 차입금 부담이 크다고 볼 수 없지만 적자가 지속되고 있어 향후 차입금의존도가 높아질 가능성을 배제하기 힘든 상태다. 롯데쇼핑의 차입금의존도는 25.6%로 4개 상장사 중 유일하게 30% 이하를 기록했다.

◇ 곧 갚아야할 단기차입금 비중 증가

상황이 이렇다 보니 순차입금 부담은 대폭 확대됐다. 높은 수준의 차입금 규모가 유지되는 상황에서 현금을 비롯한 유동자산은 오히려 줄며 순차입금 증가로 이어진 것이다. 순차입금은 총 차입금에서 회사가 보유한 현금과 예금을 차감한 것으로, 부채의 만기가 도래했을 때 회사가 즉시 변제할 수 있는 능력을 의미한다.

4개 상장사의 올해 3분기 말 별도 기준 순차입금 비율은 55.2%로 전년 말 50.7% 대비 4.5%p 상승했다. 순차입금비율은 20% 미만을 안정적으로 판단한다. 롯데지주가 80.6%로 가장 높았고 롯데쇼핑이 54.9%로 뒤를 이었다. 롯데케미칼과 롯데웰푸드도 각각 46.8%, 49%를 기록해 적정 수준을 2배 이상 상회했다.

문제는 이들 상장사의 차입구조가 단기에 집중돼 있다는 점이다. 롯데그룹의 유동성이 전반적으로 좋지 않은 상황에서 차입금 만기를 짧게 가져갈 경우 추후 상환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설명이다.

4개 상장사의 올해 3분기 말 별도 기준 평균 단기차입금 비중은 48.3%로 전년 말 42.3% 대비 6.1%p 상승했다. 이는 적정 단기차입금 비중인 50%에 근접한 수준이다. 업체별로는 롯데케미칼과 롯데지주가 각각 59.4%, 54.2%로 적정 수준을 넘어섰다. 롯데웰푸드와 롯데쇼핑도 44%, 35.8%를 기록 중이다.

특히 롯데케미칼의 기한이익 사태 등 그룹 전반에 크레딧 불확실성을 고려했을 때 단기차입 비중을 줄일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신용도 하방 압력이 높아 차환을 위한 추가 조달이 어려운데다 회사채 발행에 성공하더라도 금리 밴드가 고점에 형성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김대종 세종대학교 경영학과 교수는 “롯데의 두 축인 유통과 화학이 내수경기 침체와 공급 과잉으로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는 점에서 차입금 부담 확대는 치명적일 수 있다”며 “특히 유동성이 부족한 상황에서 단기에 집중돼있는 차입구조는 취약점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