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두 사람의 공통점은 ‘살아 있는 권력’, 그것도 그들의 ‘심장부’를 정면 겨냥했다가 나락으로 떨어졌던 인물이라는 점이다. 문재인정부 인사의 핵심이 ‘이명박근혜’ 두 보수정권에서 ‘팽’ 당했던 소위 ‘외인구단’의 화려한 귀환으로 불리는 이유다.
실제 윤 지검장은 ‘강공’ ‘반골’ 이미지가 세다. “나는 사람에게 충성하지 않는다”는 말 한마디가 이를 극명히 보여준다. 윤 지검장은 2013년 권력심장부를 정조준한 ‘국가정보원 대선 개입’ 수사로 좌천된 인물이다. 그해 10월 국회 국정감사에서 ‘조영곤 당시 서울중앙지검장이 국정원 압수수색을 반대했고 체포한 국정원 직원을 석방하라고 강요했다’고 폭로한 대가다. 정직 1개월과 감봉 1개월 징계와 함께 이듬해 한직인 대구고검과 대전고검을 떠돌았다. 당시 수사팀 팀장이었던 윤 지검장 밑에서 호흡을 맞췄던 부팀장이 박형철 현 청와대 반부패비서관이다.
노 신임 차관의 스타일도 비슷하다. 그는 2013년 문체부의 승마협회 비리 관련 보고서 작성을 주도한 일로 박 전 대통령으로부터 ‘나쁜 사람’으로 지목돼 좌천성 인사를 당했다. 박 전 대통령이 최순실씨의 딸 정유라씨가 승마대회 판정에 불만을 표하자 당시 정호성 청와대 부속비서관과 모철민 교육문화수석을 통해 승마협회의 문제점을 파악해 조치하도록 지시했는데, 당시 체육국장이었던 노 차관이 오히려 최씨의 최측근인 박원오 승마협회 전무에게도 문제가 있다며 협회 내 파벌싸움을 지적하는 보고서를 제출한 것이다. 말 그대로 숨어 있던 역린을 제대로 조준한 셈이었다. 이에 박 전 대통령은 유진룡 당시 문체부 장관에게 노 차관을 ‘참 나쁜 사람’이라 칭하며 인사조치를 요구했고, 이후 노 차관은 국립중앙박물관 교육문화교류단장직을 마지막으로 옷을 벗었다.
일각에선 두 사람의 화려한 부활을 두고 문 대통령이 ‘적폐청산’ 의지를 다시 한 번 보여줬다는 해석이 나왔다.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로 ‘적폐’로 몰려 ‘개혁 1순위’에 오른 검찰과 문체부의 핵심요직에 전 정권과 대척점에 섰던 두 사람을 잇달아 앉혔기 때문이다.
여권의 한 관계자는 “향후 장·차관 인사에서도 두 보수정권에서 인사보복을 당한 인물을 구제할 가능성은 있다”면서도 “다만, 인사의 첫 번째 원칙이 ‘능력’이라는 점에 변함은 없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청와대는 “윤 지검장의 발탁은 검찰의 주요현안 사건수사와 공소 유지, 검찰 개혁과제 이행에 한층 매진하기 위한 것”이라며 “노 차관도 주독일 한국문화원장을 지내는 등 해외에서 한국을 홍보하는 일에 탁월했고 문화부 국제경기과 사무관·국제체육과장 등을 거쳐 평창올림픽을 치르는 데 적임자”라고 설명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