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AI시대 '데이터센터' 꽂힌 건설업계…주민 반발은 숙제

이배운 기자I 2025.02.11 05:00:00

시장규모 연간 16% 성장 전망…수요 불붙을듯
기술력 요구하고 수익성 좋아 대형건설사 ''눈독''
유해성 우려에 사업지연 속출…"오해 해소 노력"

[이데일리 이배운 기자] 인공지능(AI) 시대가 도래하면서 방대한 데이터를 저장·처리하는 ‘데이터센터’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 발맞춰 국내 주요 건설사들도 데이터센터 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지만, 지역 주민의 반대가 걸림돌이 되고 있다.

(사진=게티이미지)


10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고양시 덕이동 지역구 국회의원과 비대위원장은 최근 삭발식까지 진행하는 등 지역 내 데이터센터 건설에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센터에서 발생하는 전자파, 소음, 열섬현상이 지역주민에게 유해를 끼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집회 현장에 나온 주민들은 ‘사기업 살리려 주민들 죽이냐’ ‘주민들 그만 괴롭혀라’ 등의 문구가 적힌 팻말을 들고 고양시장에 건립 직권 취소를 촉구했다. 이처럼 주민 반발이 거센 탓에 GS건설은 지난해 3월 건축허가를 받고도 기반 공사도 진행하지 못하고 있다.

당초 지난달 착공에 들어갈 예정이었던 일산동구 문봉동 데이터센터도 지역 주민의 반발로 사업이 난항을 겪고 있다. 도시계획위원회는 ‘주민 피해방지대책 수립’, ‘반대 민원 해소를 위한 상생방안 마련’ 등을 요구하면서 건축심의에서 거듭 재심의를 결정했다.

지자체 도시계획심의위는 주민 반발 등 문제가 생긴 경우 최대 2번의 재심의 과정을 거칠 수 있다. 국토교통부는 지자체 건축 인허가 과정에서 재심의가 필요한 경우 30일 이내에 진행하도록 했으나 권고 수준에 그친다. 이처럼 주민 반대로 데이터센터 착공이 지연되거나 중단된 경우가 지난해만 10여 건에 달한다.

상황이 이렇자 건설업계는 지역 주민을 대상으로 간담회·설명회를 열며 유해성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진땀을 빼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데이터센터 부지 주변에서 방출되는 전자파 노출량은 최대 14mG(밀리가우스)로, 전파 강도가 낮은 지점은 1mG에도 못 미친다. 이는 가정용 전자레인지(29.21mG)보다도 낮고 정부가 인체보호기준으로 삼는 국제비이온화방호선위원회(ICNIRP) 기준의 15%에 불과한 수준이다.

아울러 센터 내에서 발생하는 소음과 열이 외부로 방출되지 않도록 차폐벽체와 냉동기를 철저하게 설치하겠단 입장이다. 이와 관련해 건설업계 관계자는 “이미 건설된 센터 인근에서도 열섬, 소음 민원이 제기되지 않고 있다”며 “센터에서 방출되는 전자파가 실제 인체에 미치는 영향도 거의 없다”고 강조했다.

이 밖에도 건설사들은 센터 건설에 따른 지역경제 활성화와 지역 주민 고용 등 일자리 창출 효과까지 내세우고 있지만, 여전히 사회적으로 막연한 불안감이 퍼져 있어 앞으로도 갈등이 지속되는 것은 불가피해 보이는 상황이다.

이런 가운데 국내외 빅테크 업체들의 AI 경쟁이 본격화되면서 데이터센터 신축 수요는 급증하고 있다. 삼성증권에 따르면 국내 데이터센터 관련 시장 규모는 2021년 5조원 대에서 2027년 20조원으로 연간 15.9%씩 성장할 전망이다. 최근 ‘딥시크 쇼크’를 계기로 AI 시장 선점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면서 데이터센터 수요 역시 더욱 커질 것으로 관측된다.

데이터센터는 안정적인 전력공급, 통신연결, 온도·습도 유지, 냉각, 보안 등 전 영역에 걸쳐 고도의 시공 능력을 요구한다. 아울러 기존 상업용부동산 대비 수익률이 높고, 장기임대계약 기반 현금흐름이 안정적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국내 주택경기 침체가 이어지는 상황 속에서 주요 건설사들이 미래 먹거리로 주목하는 이유다.

배너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Not Author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