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블룸버그는 지난 17일 52명의 이코노미스트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전원이 동결을 예상했다고 전했다.
일본은행은 지난해 3월 단기 정책금리를 17년 만에 인상하며 마이너스 금리 정책을 종료했다. 같은 해 7월 0.25%, 올해 1월 다시 0.5%로 각각 인상했다. 올 들어 물가와 임금 상승이 커지면서 일본은행이 이달 금리 인상에 나설 것이라는 관측도 일부 나왔다.
다만 트럼프 행정부가 이달 들어 전 세계를 상대로 관세전쟁의 신호탄을 쏘아올리면서 조기 인상론이 후퇴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2일부터 미국에 수입되는 모든 철강·알루미늄 제품에 25% 관세를 부과한 데 이어 오는 4월2일 상호관세와 품목별 관세 부과를 예고했다. 이에 이번 회의에서는 앞선 금리 인상 효과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을 판단하기 위해 지켜봐야 한다는 견해가 우세한 것으로 전해진다.
앞서 우에다 가즈오 일본은행 총재는 지난 12일 국회에서 “해외 경제 및 물가 동향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걱정된다”며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따른 여파를 지켜보겠다는 입장을 내비쳤다. 우치다 신이치 부총재도 지난 5일 기자회견에서 “회의 때마다 금리를 인상할 것 같지는 않다”며 속도 조절을 시사했다.
시장의 관심은 금융정책결정회의 종료 후 우에다 총재가 기자회견에서 내놓을 발언이다. 우에다 총재의 최근 발언은 시장의 금리 인상 전망에 대해 명확하게 제동을 거는 모습이 두드러지지 않았다. 이에 그가 다음 행보와 관련해 어떤 신호를 보낼지, 미국의 관세 정책이 일본 경제에 미칠 영향에 대해 경고성 발언이 있을지에 대해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엔캐리 트레이드(저금리에 엔화를 빌려 위험자산에 투자하는 전략) 청산 여부에도 관심이 쏠린다. 시장에서는일본은행의 금융정책결정회의 전후로 엔화 강세로 인한 엔캐리 포지션 되돌림에 대한 우려가 유입될 가능성을 경계하고 있다. 다만 지난해와 같은 청산과 시장 충격 가능성은 제한적이라는 전망에 힘이 실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