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2072년 국민 둘 중 한명은 '노인'…중위연령 63.4세

김미영 기자I 2024.09.24 05:00:00

통계청, 2022년 기준 장래인구추계 반영 인구 전망
저출산의 늪…올해 5200만명서 48년 뒤면 3600만명으로
국내 인구 30% 소멸…총부양비, 올해보다 2.8배 늘어
세계 중위연령은 39.2세, 한국은 63.4세

[세종=이데일리 김미영 기자] 오는 2072년이면 생산연령인구 100명이 어린이와 노인 118.5명을 부양해야 하는 시대가 된다는 전망이 나왔다. 올해보다 부양 부담이 2.8배 커지는 셈이다. 총부양비는 전 세계 국가 중 올해 208위에서 2050년 8위, 2072년 3위까지 무서운 속도로 계단이 오른다. 세계 최악의 저출산이 불러올 암울한 미래다.

(사진=연합뉴스)
통계청은 이러한 내용의 ‘2022년 기준 장래인구추계를 반영한 세계와 한국의 인구현황 및 전망’ 자료를 23일 발표했다. 국제연합(UN)이 발표한 ‘세계인구전망’과 통계청의 ‘장래인구추계’ 자료를 기반으로 비교한 추산치다.

한국 인구는 올해 5200만명에서 2050년 4700만명, 2072년 3600만명으로 감소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측했다. 세계 인구는 올해 81억6000만명, 2050년 96억6000만명, 2072년 102억2000만명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과 다른 흐름이다.

원인은 저출산이다. 여성 한 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합계출산율이 2023년 0.72명에서 2050년 1.08명으로 소폭 늘지만 인구 수 반등은 불가능하다. 세계적으로 봐도 마카오에 이어 두 번째로 낮은 출산율이다.

이에 따라 한국의 유소년인구(0~14세) 비중은 올해 10.6%에서 2072년이면 6.6%로 떨어진다. 경제를 떠받치는 핵심 인력인 생산연령인구(15~64세)는 2012년(73.4%)을 정점으로 감소해 올해 70.2%, 2050년 51.9%, 2072년에는 45.8% 수준으로 낮아질 것으로 전망된다.

고령화 심화는 불가피하다. 한국의 기대수명은 2022년 82.7세에서 2050년 88.6세, 2072년이면 91.1세로 늘어나 일본과 더불어 세계 최고수준이 된다.

이에 따라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중은 올해 19.2%에서 2072년 47.7%까지 늘어난다. 국민 둘 중 한 명은 ‘노인’이란 얘기다. 같은 기간 세계의 고령인구 증가율이 28.5%인 점을 고려하면 고령화 속도가 눈에 띄게 빠르다.

총부양비 부담은 덩달아 높아진다. 생산가능인구 100명당 부양해야 할 유소년인구와 고령인구의 합을 뜻하는 총부양비는 올해 42.5명에서 2072년에는 118.5명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이 기간엔 인구가 늘어나는 아프리카를 제외한 모든 대륙에서 총부양비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지만 유독 한국의 부양비 부담 증가폭이 크다. 세계의 총부양비는 53.7명에서 62.7명으로 1.2배 늘지만 한국은 2.8배다.

생산연령인구 100명당 고령인구의 비중을 가리키는 노년부양비만 떼놓고 봐도 비슷하다. 한국의 노년부양비는 2024년 27.4명에서 2072년 104.2명으로 3.8배 폭증할 전망이다. 같은 기간 세계의 노년부양비는 15.7명에서 33.1명으로 2.1배 늘어난다.

[이데일리 이미나 기자]
인구를 연령 순서로 나열할 때 중앙에 서 있는 사람의 연령인 중위연령은 올해 46.1세에서 2072년 63.4세로 높아진다. 유럽(48.0세)보다 15.4세 높고, 세계 인구의 중위연령(39.2세)과 견주면 24.2세 높다.

재앙 수준의 인구 감소를 보여주는 전망치들이 계속 나오면서 저출산 대책 강화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이인실 한반도미래인구연구원장은 “윤석열 정부에서 정부 인구전략기획부(가칭)를 신설한다곤 하지만 현 상황의 정책 정도라면 상황 악화를 막지 못하고 변죽만 울리는 데 그칠 공산이 크다”며 “젊은층의 출산 기피를 돌이킬 수 있을 만큼의 파격적인 정책이 나와야 한다”고 강조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