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는 “모든 개별 협상은 그 나라의 시장, 수출, 미국의 수입 등을 기반으로 맞춤형으로 독특한 것이 돼야 한다”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트럼프 대통령은 스콧 베센트 미 재무장관과 제이미슨 그리어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에 협상 주도권을 위임했다고 덧붙였다.
레빗 대변인은 70개 가까운 국가가 협상을 위해 미국을 접촉하고 있다고 재확인하면서 “이들 국가는 미국산 제품에 상당한 관세를 부과하고 터무니없는 비관세 장벽으로 미국 산업을 차단함으로써 부당하게 부유해졌다는 것을 깨닫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의 메시지는 ‘최고의 제안을 갖고 오면 들을 것’이란 것이다”라면서 “미국 노동자에게 이익이 되고 미국의 심각한 무역 적자를 해결할 수 있을 때만 협상이 이뤄질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무역 협상에 다른 의제도 포함될 수 있느냐는 질문에 “트럼프 대통령은 맞춤형 접근 방식을 취할 것”이라면서 “만약 그것이 해외 원조, 미군의 이들 국가 주둔 및 그 비용 등을 의미한다면 그것은 협상의 일부가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것은 관세와 무역 협상이지만 그것은 모든 나라에 ‘원스톱 쇼핑’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상호관세는 단기간에는 바뀌지 않을 것으로 예상했다. 그는 “상호관세는 협상이 진행되는 과정에도 계속 부과될 것이며 미국은 수조 달러의 수입을 창출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상호관세 부과 유예를 묻는 말에는 “대통령은 연기를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으며 예외 조치 가능성에 대한 질문에는 “앞서 나가지 않겠다”면서 답변을 피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