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산객 안전은 우리가 책임진다"…'국립공원 수호대' 특수산악구조대

이연호 기자I 2024.05.28 06:00:00

■극한 넘는 공무원 ①국립공원공단 특수산악구조대
북한산·설악산 암벽 등반 사고 구조 전담..131회 중대 사고 구조 성과
훈련도 실전처럼..겨울엔 체감 기온 영하 50도 혹한과도 싸워
무등·팔공·지리산에도 2027년까지 특수산악구조대 설치

슈퍼맨은 아닙니다만 우리 일상을 지켜주는… . 정부 부처나 지자체 공무원 또는 준공무원들 중엔 겉으로 잘 드러나진 않지만 고강도의 고된 업무를 하는 공무원들이 많다. 본지는 대중에게 잘 알려져 있진 않지만 공공복리를 위해 묵묵히 애쓰는 공무원들을 소개한다. <편집자 주>


[이데일리 이연호 기자] 지난 2월 4일 오후 2시 20분께 설악산 잦은바위골 50m 폭포 인근에 우측 발목 탈골로 추정되는 거동이 불편한 사람이 있다는 신고가 국립공원공단 설악산국립공원사무소로 들어왔다. 설악산은 지난 겨울 많은 눈이 내려 탐방이 불가능한 출입금지 구역에는 1m 이상의 많은 눈이 쌓여 있었다. 잦은바위골 역시 비법정 탐방로로, 부상자는 허가받지 않고 50m 높이의 폭포 빙벽 등반 중 추락해 발목이 탈골되는 사고가 난 것으로 확인됐다. 다행히 국립공원공단의 신속한 대처로 사고 발생 8시간여 만인 이날 오후 10시 30분께 사고자를 무사히 구조했다. 설악산에 갓 생긴 특수산악구조팀과 국립공원구조대, 환동해특수대응단산악구조대의 유기적 협업 체계가 원활히 작동한 덕이었다.
지난해 4월 12일 북한산 선인봉에서 특수산악구조대원들이 조난된 등반객을 구조하고 있다. (사진=국립공원공단)
◇2019년 의경 제도 폐지 계기 창설…암벽서 80kg 환자 구조해야 자격 취득

북한산 국립공원과 설악산 국립공원에는 국립공원 등산객들의 안전을 지키는 수호대가 있다. 바로 국립공원 특수산악구조대이다. 특히 단순 등산을 넘어 암벽 등반이나 빙벽 등반을 하다 자칫 실수할 경우 크게 다칠 수 있기 때문에 그들을 위해 항상 긴장의 끈을 놓지 못하고 상시 대기한다. 겨울 산의 혹한과 싸우고 깎아지른 듯한 가파른 암벽을 수시로 타며 인명을 구하는 그들은 국민들의 숨은 안전 지킴이다.

국립공원 특수산악구조대는 지난 1983년 5월부터 북한산에서 활동해 오던 경찰 산악구조대가 2019년 1월 의무경찰 제도 폐지 등의 이유로 전원 철수하면서 국립공원 내 안전사고 발생 시 긴급 구조 공백 최소화를 위해 창설됐다. 앞서 1983년 5월 경찰산악구조대가 창설된 것은 그해 4월 북한산 인수봉 암벽 등반 중 인명 피해가 발생하자 위험 지역 구조 전담 인력 필요성이 제기되면서였다. 경찰산악구조대 철수로 국립공원공단은 자체 특수산악구조대를 꾸릴 수밖에 없었다.

2019년 5월 북한산 특수산악구조대가 창설돼 경찰 산악구조대의 명맥을 잇다 지난해 12월 1일 설악산 특수산악구조팀도 추가로 신설됐다. 특수산악구조대는 고고도·고위험 지역인 암벽, 암릉 등에서 주로 일한다. 지리·지형적 특성상 접근이 어렵고 위험한 지역에서 안전사고 예방 및 구조 활동을 하기 때문에 안전사고 발생 시 암벽 등반 및 구조 능력이 능숙해야 한다. 국립공원공단 한 관계자는 “암벽 등반 안전사고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현장 지형 숙지는 물론 전문 응급 처치 등 현장 위기 대응력이 뛰어난 전문적 구조 전담 인력 배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특수산악구조대는 전국 모든 국립공원에 있는 자체 구조대와는 차별화된다. 구조대가 조난자 발생 시 사후적으로 응급 처치 등을 취하고 소방에 인계하는 역할에 치중하는 반면 특수산악구조대는 그 업무 범위가 더 넓다. 특수산악구조대는 공원 내 탐방객 안전사고 예방 활동 및 사고 발생 시 구조·구급 활동 등의 기본적인 업무 뿐만 아니라 주로 암벽이나 빙벽 등 고고도·고위험 지형의 전문적 구조 업무를 수행한다.

고지대 위험 지역 안전 관리 업무를 전담하는 이들이 바로 특수산악구조대로 이들은 모두 전문적인 등반 기술을 갖추고 있다. 특수산악구조 대원이 되기 위한 시험 중 실기에서 암벽 등반 능력은 필수다. 실기 시험엔 암벽상에 체중 80kg 환자가 있다고 가정하고 그 환자를 끌어올리는 테스트도 포함돼 있다.

국립공원 특수산악구조대는 현재 안전사고가 가장 많이 발생하고 있는 북한산과 설악산에 총 48명이 현장 배치돼 구조 활동 임무를 수행하고 있다. 전국에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18개의 산들 중에 북한산과 설악산에만 특수산악구조대가 있는 이유는 등반객 수나 위험성에 더해 산의 특성 때문이다. 국립공원공단 관계자는 “현재 전국의 국립공원 중 암벽 등반이 허가된 산은 북한산과 설악산뿐이다. 남쪽 산들의 바위는 암벽 등반에 적절하지 않은 비화강암 재질로 돼 있기 때문에 암벽 등반이 허용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국립공원 특수산악구조대는 현재 북한산과 설악산의 고지대 중에서도 거점 지역 위주로 배치돼 탐방객 구조 활동을 하고 있으며 특수산악구조대가 창설된 지난 2019년 5월부터 지난달까지 총 131회 중대 위험 지역 안전사고에 대응해 구조 활동을 성공리에 마쳤다.
지난 4월 16일 설악 울산바위에서 특수산악구조대원들이 환자를 구하고 있다. (사진=국립공원공단)
◇시행착오 없애려 시나리오 짜서 하는 고된 훈련...구조 뿌듯함으로 일해

특수산악구조 대원들은 평균적으로 하루 한 건 이상 등반객 안전사고가 발생하기 때문에 긴장을 늦출 수 없다. 인명구조 자격증, 암벽등반 기술 등을 보유한 산악 구조 전문 요원들이지만 어려움은 많다. 항상 사고 위험성을 안고 일해야 하는 직업 특성상 한 치의 실수도 용납되지 않는다.

실전을 방불케 하는 주기적인 훈련은 필수다. 주요 사고 발생 지점에서 시나리오를 짜서 사고 상황을 재연하고 효율적인 구조 훈련을 반복한다. 실전 적용성을 높이기 위해 대원 중 한 명은 환자 역할을 한 채 훈련을 진행하기 때문에 이 역시 위험성이 상존한다. 설악산 특수산악구조팀의 경우 겨울에 체감 기온 영하 50도까지 내려가는 혹한의 추위와 맞닥뜨려야 하는 것은 또 다른 어려움이다.

힘든 일인 만큼 환자를 무사히 구조했을 때의 보람과 뿌듯함은 이루 말할 수 없다. 공단 직원들도 그들의 힘듦을 잘 알기에 그들을 존중하고 대우해 준다. 설악산 특수산악구조팀 나진영(여·32) 대원은 “지난 2월 잦은바위골 사고는 눈도 많이 내렸고 들것 작업을 통해 내려왔기 때문에 특히 힘들었다”며 “8시간 내려와 등산로 초입부에 들어섰을 때 저희 직원들이 랜턴을 켠 채 기다리고 있는 모습을 보고 감동을 받았다”고 언급했다.

국립공원공단은 앞으로 365일 24시간 상시 구조 출동 태세를 갖춘다는 방침이다. 고지대 위험 지역 안전사고 발생 시 신속한 구조·구급 활동을 통한 더욱 안전한 국립공원 탐방 환경 조성을 위해 특수산악구조대를 확대 운영할 계획이다.

오는 2027년까지 북한산, 설악산 외 추가로 3개 국립공원에 특수산악구조대를 설치하고 인원도 늘릴 목표를 갖고 있다. 국립공원공단의 또 다른 관계자는 “설악산에 이어 무등산, 팔공산, 지리산에도 오는 2027년까지 특수산악구조대를 만들 계획”이라며 “설악산 특수산악구조팀의 인원도 현재 8명에서 2027년까지 48명으로 대폭 늘리기 위해 관계 부처와 협의를 진행할 것”이라고 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