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15일까지 중국 지방정부 (31개 성시)가 제시한 올해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목표치의 평균은 5.9%다. 중국은 각 지방정부들이 1월 지방 양회 개최 후 각 지역의 성장률 목표를 발표하고 3월 베이징에서 전국 양회를 개최해 전체 중국의 성장률 목표치를 발표한다. 지방정부가 국가 전체 계획을 총괄하는 중앙정부와의 긴밀한 조율을 통해 각각의 목표를 정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지방정부가 제시한 수치를 통해 중앙정부가 제시할 성장 목표를 가늠해 볼 수 있다.
중국 정부는 올해 5~6%대 성장률 목표치를 제시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중국 사회과학원은 지난달 낮은 경제 성장에 대한 기저효과와 방역 완화에 따른 소비 증가로 경제가 회복세를 보일 것이라며 올해 경제 성장률을 5.1%로 제시했다. 중국 국무원 싱크탱크인 과학원 예측과학연구센터는 6%로 전망했다.
중국은 올해 경제 성장 동력으로 무엇보다 소비 회복을 강조하고 있다. 올해 중국의 경제 기조를 결정짓는 지난달 중앙경제공작회의에는 내수 회복과 확대를 최우선 과제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국무원은 지난 28일에도 “수요 부족이라는 두드러진 문제에 대응해 소비의 빠른 회복이 경제의 주요 동력이 되도록 추동해야 한다”이라고 강조했다.
시 주석이 이전까지 강조해오던 분배에 중점을 둔 ‘공동부유(더불어 잘살기)’는 속도조절에 들어가는 모습이다. 공동부유는 중앙경제공작회의에서 언급되지 않았다. 류허 중국 부총리는 최근 세계경제포럼 특별연설에서 공동부유는 장기적 목표이며, 경제 살리기에 우선하겠단 의지를 밝혔다. 중국 정부는 민영 기업과 플랫폼 기업 발전을 위한 지원 의지도 계속해 나타내고 있다.
신승웅 신한투자증권 연구원은 “정책 기대감에 실적 회복까지 더해진다면 여행, 면세, 항공 등 서비스소비 업종의 주가 회복은 더욱 강해질 수 있다”며 “이외 부동산 경기와 밀접한 가전, 가구 등 내구재 업종에도 주목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박수진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정책적 지지와 리오프닝 수혜를 받을 수 있는 중국 빅테크, 음식료·여행·항공과 IT·클라우드 등 신형 인프라 관련 투자가 유효하다”고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