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 "반도체 생태계 구축위해 전문 인력 양성 시급"

신민준 기자I 2021.03.31 05:00:00

"미래반도체소자 개발사업 등 민관 협력 프로젝트 더 많아야"
"반도체 공정별 대학 특성화, 전·후공정기업 지원도 필요"

[이데일리 신민준 기자] 전문가들은 안정적인 국내 반도체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전문·고급 인력의 양성이 시급하다고 입을 모았다.

전문 인력으로 성장할 수 있는 대학과 대학원생 등이 다양한 지식과 경험을 쌓을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줘야 한다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또 산학연이 소통을 강화할 수 있도록 정부가 발 벗고 나서야 한다고 조언했다.

왼쪽부터 조중휘 인천대 , 안영기 대림대 교수.
조중휘 인천대 임베디드시스템공학과 교수는 30일 이데일리와 인터뷰에서 “반도체 생태계 구축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인력”이라고 밝혔다.

특히 조중휘 교수는 석사급인 대학원생이 핵심이라고 설명했다. 조 교수는 “군대에 비유하자면 학사들은 보병, 석사급은 주특기를 가진 포병 등으로 볼 수 있다”며 “반도체 산업의 핵심인 연구개발을 하기 위해서는 허리 역할인 석사들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대학원에서의 교육은 논문 위주여서 기업들이 원하는 것보다 조금 더 미래 기술을 배우는 것일 수 있다”며 “기업들의 원하는 향후 5년 안팎의 미래 기술을 먼저 경험할 수 있는 교육 체계가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그런 의미에서 정부와 삼성전자(005930)·SK하이닉스(000660) 등 업계가 지원하는 미래반도체소자 원천기술개발사업과 같은 민관 협력 프로젝트가 더 많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 교수는 또 대기업과 중소기업간 소통이 더 활발해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조 교수는 “장비나 팹리스(반도체 전문 설계), 후공정(패키징) 기업들은 주로 중소기업으로 구성돼 있다”며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등 대기업들과 수시로 소통을 해 의견을 나눠야 한다. 차세대 지능형 반도체사업단 등 징검다리 역할을 할 정부의 적극적인 의지가 필요하다”고 전했다.

반도체 공정에 따른 대학별 특성화가 이뤄져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안영기 대림대 스마트팩트리학과 교수는 “대학들이 반도체 관련 모든 분야를 다루려고 하다 보니 학생들이 수도권 등 특정 지역 대학에 몰리는 경향이 있다”며 “반도체 공정에 따른 특성화가 되면 학생들이 특정 지역에 몰리는 현상이 완화될 수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비용 측면에서도 모든 장비나 기자재를 갖출 필요가 없다 보니 운영에도 효율적”이라며 “일종의 대학 클로스터화를 해야 한다”고 밝혔다.

안 교수는 또 반도체 전공정(노광·증착·식광), 후공정(테스트·소켓·프로브·모듈 패키징·완제품 패키징) 기업들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안 교수는 “반도체 전공정과 후공정 기업들을 보면 주로 중소기업들로 낙후된 장비를 지닌 기업들이 꽤 있다”며 “대만 TSMC가 삼성전자를 제치고 애플 물량을 수주한 것은 패키징 기술 차이 때문이었다”고 말했다.

또 “최신화된 장비를 갖추면 전·후공정 기업들의 경쟁력 또한 강화될 것”며 “대기업 쏠림 현상에 따른 중소기업들의 인력 부족 문제도 어느정도 해결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