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전 장관은 “시기별로 보면 전두환 대통령은 권위주의 시대 마지막 정부, 노태우 대통령은 체제 이행기 시절, 김영삼 대통령은 최초의 문민정부를 출범했다는 각각 특징이 있는데 이 기간 청와대에서 많은 것을 보고 느꼈다”면서 “대통령이 갖춰야 할 가장 중요한 덕목은 적재적소에 사람을 공적으로 쓰는 것”이라고 말했다.
|
그런 그가 바라보는 현 정부의 인사는 어떨까. 그는 “윤 대통령은 검찰에만 평생 있었기 때문에 국정을 모르는 것은 당연하다. 그건 국민도 안다”면서 “유능한 사람을 불러서 저절로 관료 사회가 같이 움직이도록 일하게 하면 되는데 (최근 정부를 보면) 그런 것 같지 않다”고 꼬집었다.
윤 전 장관은 이어 “만약 본인과 가까운 사람을 주요 참모진에 앉히고 싶으면 일단 공직 경험 등을 통해 관료사회에서 훈련시킨 후 집권 후반기에 불러야 한다”며 “집권 3년 차가 넘으면 레임덕(권력 누수 현상)이 오는데 이럴 때 훈련시킨 사람을 부르면 관료 조직이나 민심의 동요가 훨씬 덜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는 현 정부가 대통령실에 주요 보직에 검찰 출신의 인사들을 대거 중용하고 있다는 지적에 대한 조언으로 풀이된다.
그러면서 김대중 정부 사례를 소개했다. 그는 “DJ(김대중)가 집권하자 마자 반대 세력 사람을 썼다. 초대 안기부장이었던 이종찬, 비서실장 김중근 모두 대구·경북(TK) 출신이었다”며 “이거 보면서 역시 DJ는 노련하다고 생각했다. DJ가 집권하면서 보수세력이 불안해 했는데 인사를 보면서 ‘괜찮네’라고 하더라”고 당시 상황을 전했다.
이어 과거 정부에서 인사로 대형사고를 수습했던 일화도 얘기했다. 윤 전 장관은 “과거 1994년 성수대교 붕괴 사고가 발생했던 당시 김영삼 전 대통령이 직접 전화가 와서 ‘큰 일을 수습하려 하지 말고, 전화위복을 만들어야 한다’고 얘기해 당시 참모들과 한참을 고민했다”며 “일 할 때 그립(장악력)이 세고 유능하다고 입증돼 ‘최틀러’라는 별명을 가진 최병렬 전 의원을 후임 서울시장으로 불러 민심이 진정되는 걸 봤다”고 회상했다.
그러면서 현 정부 들어 발생한 이태원 참사와 관련해선 “사고 책임자인 행안부 장관 등을 경질하지 않은 걸 보면서 안타까웠다”며 “그렇게 사람을 끌어안을수록 정권도 해당 인사도 더욱 망가질 수 있다”고 작심 비판했다.
이외에도 윤 전 장관은 대통령의 중요한 덕목으로 정책 설계 및 수행, 외교 능력 등을 꼽았다. 그는 “우리나라는 분단 국가이기 때문에 한반도 평화 관리를 위한 외교 정책을 잘 펼쳐나가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