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농구장 3배 넓이 혼자 쓸고 닦고…시급 6700원 청소노동자의 하루

권오석 기자I 2017.07.21 05:00:00

30도 넘는 무더위에 두개층 청소
분리수거 10분 만에 땀이 비오듯
밥값 아끼려 휴게실서 끼니 해결
"시급 조금이라도 올려줬으면" 바람

대학 청소노동자 체험에 나선 본지 권오석 기자가 사무실을 돌며 분리수거를 하고 있다.
이데일리에서는 ‘관찰자’에 머무르지 않고 사회부 기자들이 다양한 현장에 직접 뛰어들어 보고 듣고 느낀 경험을 독자 여러분에게 전해드리는 ‘해봤습니다’ 코너를 연재합니다. [편집자주]

[이데일리 권오석 기자]동이 트려면 아직 2시간 가까이나 남은 새벽 3시 30분. A(60·여)씨는 부스스한 머리를 대충 빗어넘기고 출근 준비를 한다. 금천구에 있는 집을 나서 첫 차를 타고 일터인 학교에 도착하면 오전 5시 20분 쯤이다. 이때가 되면 어슴푸레 동이 터오면서 날이 밝는다. 정해진 업무 시작은 오전 6시부터지만, 새벽부터 학교를 나오는 학생들이 있어 항상 30분 정도 먼저 일을 시작한다. 어느덧 4년째 이런 일상을 반복하고 있는 A씨는 대학 청소노동자다.

◇분리 수거 10분 만에 땀 비오 듯…역한 냄새 고역

맨 처음 쓰레기통 비우기와 분리수거부터 시작한다. 한 단과대 건물 4·5층 구역이 A씨 담당이다.

5층부터 내려오면서 각 층의 남녀 화장실 2곳, 학과 사무실과 강의실 32곳 등에 있는 쓰레기통을 비운다. 로비에 있는 것까지 포함하면 족히 50개가 넘는다. 쓰레기를 한 데 모아 플라스틱·종이상자·캔·유리병 등을 분리수거하면 2시간이 훌쩍 지나간다.

카드키로 잠겨 있는 학과 사무실, 교수 연구실을 돌며 100ℓ짜리 봉투 2장에 쓰레기를 담기 시작했다. 커피 일회용 컵부터 각종 서류, 캔, 생수병 등이 뒤죽박죽 섞여 있다. 마시다 남은 음료에서 고약한 냄새가 났다.

A씨는 “그나마 방학이라 쓰레기가 적은 편”이라며 “학기 중에는 감당할 수 없을 정도로 많아 청소 중간에 지하 3층에 있는 수거장에 한 번 갔다와야 할 정도”라고 말했다.

고무장갑을 건네 받아 직접 분리수거에 나서봤다. 장갑 안은 이미 땀이 흥건했다. 10분 정도 지났을까, 연일 30도를 웃도는 찜통더위에 등줄기에 땀이 비오듯 흘렀다.

A씨는 “로비 중간에 하나, 복도 양 끝에 냉방기가 있긴 하지만 오전 8시가 넘어야 가동을 시작한다”며 “그나마 바람도 신통치 않아 요즘 같은 때에는 금세 땀범벅이 되기 일쑤”라고 했다. A씨 뿐 아니라 적지않은 청소노동자들이 여름철이면 땀띠를 달고 산다. 땀 냄새에 쓰레기 악취까지 몸에 배여 작업복을 하루에 두 세 번씩은 갈아 입는다. 샤워장이 따로 없어 정 견디기 힘들 땐 청소용구 등을 비치한 ‘걸레장’에서 간단히 땀을 씻어낸다.

30도를 훌쩍 웃도는 불볕더위가 연일 이어지고 있지만 지하 3층에 있는 15평(49.58㎡) 남짓한 여성 휴게실에 냉방기기라고는 선풍기 한 대가 전부다.


◇15평 남짓 휴게실엔 달랑 선풍기 한 대

점심시간이 되자 A씨를 포함한 청소노동자 10명이 지하 3층에 있는 휴게실로 모였다. 15평(49.58㎡) 남짓한 공간에 남이 쓰다 내놓은 냉장고, 선풍기 등 가전 제품과 간단한 식기류가 있었다. 매달 각자 2만원 정도씩 모아 한달치 먹을 쌀(40㎏)을 사고 반찬은 각자 집에서 가져와 함께 먹는다. 교내 구내식당이 있지만 한 푼이라도 아끼려고 휴게실에서 끼니를 해결한다.

A씨는 “겉으로 보기엔 넓어 보이지만 휴식 시간(오전 8~10시, 낮 12~오후 2시)에 녹초가 된 몸을 뉘이려면 다닥다닥 붙어서 쉴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휴게실에서 잠시 땀을 식힌 후 화장실 청소를 시작한다. 세면대, 변기통, 창문 등을 손걸레로 닦은 뒤 대걸레로 바닥을 민다.

일주일에 한 번 정도는 락스와 솔을 이용해 화장실 전체를 물청소해야 한다. A씨는 “바닥 타일 사이사이에 낀 때들을 벗겨내는 데 1시간 정도 걸린다”며 “쪼그려 앉아 있으면 무릎이 아파오기 때문에 4층 화장실과 5층 화장실 물청소 날짜를 나눠서 한다”고 설명했다.

복도와 계단 청소가 남았다. 빗자루 대신 기름 마대 걸레로 먼저 바닥을 훑는다. 기름 걸레는 바닥에 있는 머리카락 같은 먼지들을 쉽게 흡착하기 때문에 빗자루보다 낫다. 선배들에게 전수받은 생활의 지혜다.

기름 걸레로 다 닦은 뒤엔 물걸레 차례다. 이런 식으로 닦아야 할 바닥은 4, 5층 복도와 학과 사무실 및 강의실 등을 합쳐 총 1256㎡(380평)이 좀 넘는다. 국제규격 농구장의 3배 크기다.

50개에 이르는 건물 창문도 빠트릴 수 없다. 양 손에 물걸레와 마른 걸레 두 개를 들고 다닌다. 비가 오거나 미세먼지가 불어닥치는 날이면 흙먼지가 창틀에 고스란히 쌓여 청소하기가 여간 까다롭지 않다.

방학 중이라 그나마 일이 줄었다. 학기 중에는 너무 바빠 뛰어다녀야 할 정도다.

샤워시설이 따로 없는 탓에 청소용구 등을 비치한 ‘걸레장’에서 간단히 땀을 씻어낼 때가 많다.
오후 4시 업무를 마친 A씨는 “적어도 나흘 정도는 내내 해야 맡은 구역을 꼼꼼히 청소할 수 있다”며 “당장 눈에 잘 보이는 곳들 위주로 한 뒤 시간을 두면서 구석구석 관리한다”고 말했다.

주말과 공휴일을 제외하고 이렇게 한 달 일한 대가로 받는 돈은 140만원 정도, 시급으로는 6700원이다.

관리비를 내고 매달 집을 살 때 빌린 대출금과 이자를 납부하고 나면 저축은 엄두도 못 낸다.

‘지금 당장 1만원’까지는 아니더라도 시급을 조금이라도 더 올려줬으면 하는 게 A씨의 가장 큰 바람이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