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사의 서가]②서종대 원장 "공직자 꿈꾼다면 '청렴·소통' 가슴에 새겨야"

김성훈 기자I 2016.09.21 05:00:00

서종대 원장이 미래 공직자에게 추천하는 ''목민심서''
감정원 설립 47년 만에 ''부동산 조사·통계기관'' 새 출발
청렴과 소통 어우러진 감독기관 위해 노력할 것

△ 서종대 한국감정원 원장이 지난 1981년 행정고시 25회에 합격한 후 처음 읽었다는 정약용 선생의 ‘목민심서’는 지금도 시간이 날 때마다 틈틈이 찾아보는 책 가운데 하나다. 서 원장은 목민심서에는 공직자가 가져야 할 마음가짐이 아주 구체적으로 담겨 있다고 말한다. [사진=이데일리 노진환 기자]
[이데일리 김성훈 기자] 취업 준비생 10명 중 4명이 공무원을 준비하는 시대다. 통계청이 발표한 ‘경제활동인구조사 청년층 부가조사’에 따르면 국내 취업 준비생(15~29세) 가운데 ‘일반직 공무원’ 시험 준비생이 올해 5월 현재 25만 6000명으로 1년 전보다 3만 5000명이나 늘었다. 역대 최대치다. 전체 취준생 중 공시생 비율도 39.3%로 전년보다 4.4%포인트 늘며 2006년(40.6%) 이후 10년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갈수록 심해지는 취업난에 질 좋은 일자리가 줄면서 안정적인 일자리로 꼽히는 공무원 시험에 청년들이 몰리는 것이다.

서종대 한국감정원 원장(사진·56)은 중학교 때부터 공직자의 길을 걷겠다고 결심했다. 지난 1981년 행정고시 25회에 합격한 후 처음 읽었다는 정약용 선생의 ‘목민심서’는 지금도 시간이 날 때마다 틈틈이 찾아보는 책 가운데 하나다. 서 원장은 목민심서에는 공직자가 가져야 할 마음가짐이 구체적으로 담겨 있다고 말한다. “목민심서에 나오는 공직자의 자세는 몇백 년이 지난 지금도 크게 변하지 않은 것 같습니다. 공직자를 꿈꾸는 젊은이들이라면 목민심서에 기록된 수령의 역할을 가슴 깊이 새겨볼 필요가 있습니다.”

◇공직자가 지녀야 할 ‘청렴’ 알려주는 목민심서

정조를 만나 실학자로 승승장구하던 다산 정약용 선생은 정조의 죽음과 함께 긴 유배 생활을 시작한다. 목민심서는 신유사옥으로 전라도 강진에서 19년간 귀양살이를 하다 풀려난 해인 1818년(순조 18년)에 완성됐다. 이 책은 ‘수령’이라 불리던 고위 지방공무원들이 백성에게 가져야 할 마음가짐과 덕목, 그리고 마땅히 해야 할 공무(公務)를 구체적이고 논리적으로 설득한다. 부패가 극에 달한 조선 후기 지방 사회와 정치의 실제를 밝히고 관리자가 취해야 할 일들을 적고 있다. 오랫동안 벼슬을 떠나 야인으로 지내며 느낀 수령의 존재 이유는 백성을 돌보는 데 있다고 강조한다.

서 원장이 목민심서에서 가장 주목한 부분이 바로 청렴이다. 실제로 서 원장은 2014년 3월 한국감정원장 취임 직후 익명 부패 신고센터를 설치해 금품수수 등 비위행위 처벌 기준을 강화하고 지사별 ‘청렴 지킴이’를 활용한 자율 청렴 시책을 활성화했다. 그 결과 감정원은 국민권익위원회가 실시한 청렴도 2년 연속 최우수등급 기관에 뽑혔다. 서 원장은 “김영란법(부정청탁 및 금품 등 수수의 금지에 관한 법률) 시행을 앞두고 공직자의 올바른 처신이 더욱 주목받고 있는 상황에서 공직자의 청렴에 대해 곱씹어 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47년만에 새출발하는 감정원…“소통 중심의 감독기관 될 것”

서 원장은 ‘소통’이라는 키워드에도 주목한다. 건설교통부(현 국토교통부) 재직 시절 추진했던 경기도 판교신도시와 동탄신도시 개발 때 일일이 주민을 찾아 사업을 설명하고 설득했던 경험이 밑거름됐다. 우려와 기대가 공존하는 정책 추진에서 주민과의 소통만이 믿음을 심어줄 수 있다는 점을 몸소 깨달은 셈이다.

감정원은 지난 1일 정부 산하 감정평가 전문기관으로 설립된 지 47년 만에 ‘부동산시장 조사·통계 전문기관’으로 새 출발을 알렸다. 감정원 출범 이래 이어지던 감정평가 수주 업무를 내려놓고 감정평가 타당성 조사와 보상·담보평가 검토 등 감정평가 심판기능을 전담하게 된 것이다. 서 원장은 “국내에서 부동산시장이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크지만 금융감독원과 한국소비자원처럼 시장을 체계적으로 감독하는 기관이 없었다”며 “남은 임기 동안 감정원이 소통 중심의 감독기관으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 서 원장은 ‘소통’이라는 키워드에도 주목한다. 우려와 기대가 공존하는 정책 추진에서 주민과의 소통만이 믿음을 심어줄 수 있다는 점을 몸소 깨달은 셈이다.[사진=이데일리 노진환 기자]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