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락까지 떨어진 삶. 단단히 마음먹고도 5년을 몸부림 친 끝에야 마약을 ‘끊었다’. 이후 20년 넘게 마약 중독자의 재활을 돕고 있다. 박영덕(59) 한국마약퇴치운동본부 중독재활센터장의 인생 얘기다. 최근 들어 부쩍 늘고 있는 10대 마약사범들에 꼭 들려주고 싶은 얘기기도 하다.
◇ “정신병원 입원해도 약 못 끊어…극단 선택까지”
|
박영덕 센터장은 13일 이데일리와의 인터뷰를 갖고 그의 고통스러웠던 과거를 들려줬다. 그는 “중학교 때 집 나와서 마약을 접했는데, 약을 하다보니 사람 역할을 못하게 되더라”며 “돈을 구하려 남을 속이고, 수배가 내려지고, 도망을 다니고, 교도소에서 만난 사람들이랑 어울리고… 정상적인 직업을 갖지도 못했고, 군대도 못 갔다”고 했다. 이어 “처음엔 ‘살고 싶은대로 산다’고 생각했는데, 이게 끊으려고 해도 끊어지지가 않더라”며 “내 탓도 하지만 가정 탓, 남 탓, 사회 탓, 나라 탓을 하게 됐다”고 했다.
망가진 몸으로 다시 집으로 돌아간 건 30살 즈음이었다. 그는 “가족 입장에선 정신병원 입원이 최선이었는데, 입원과 퇴원을 반복하면서도 약을 끊을 수가 없었다”며 “당뇨병은 심해지고 집에서 포기한 상태가 됐다”고 토로했다. 그러면서 “결국 홀로 남아서 서울역에서 노숙생활을 두 달 정도 했는데… 몸이 안 좋아서 꼼짝없이 바닥에 누워있던 내게 다른 노숙인이 급식 식판을 건네던 손을 잊을 수 없다, 안 먹겠다고 내팽개쳤지만 다음날 또 밥을 내밀어줬다”고 돌이켰다.
39살, 마약을 끊으려 중독재활센터를 찾아갔다. 하지만 쉽지 않았다고 했다. 그는 “마약을 않겠다고 결심해도 노력과 의지로 이길 수 있는 게 아니다”며 “마약을 하면 정신적인 문제가 생겨 우울증이 온다, 자살을 선택하게 되고 나를 살려준 의사를 원망하고 또 나가서 먀약을 했다. 그렇게 5년 동안 몸부림쳤다”고 했다.
◇ 청춘 지고, 병 얻은 뒤에야 단약 “예방·치료 필요”
마침내 그는 단약에 성공했다. 밥을 해먹고, 설거지를 하고, 청소를 하는 등 재활센터에서 규칙적인 생활을 하면서 이뤄냈다. 그는 “매일 씻고 닦다 보니 신체를 떠나 제 마음도 닦이고 선해지는 것 같았다”며 “규칙적인 생활을 하면서 올바른 사고방식을 가지게 하는 게 단약의 방법”이라고 했다.
하지만 그의 청춘은 이미 다 지나가버렸다. 한국마약퇴치운동본부에서 일하면서 마약을 접한 청소년들을 만나게 될 때, 그의 마음은 더 무거울 수밖에 없다. 박 센터장은 “나이 어린 층을 상담하다보면 과거의 내 모습을 보는 것 같다”며 “‘하지 말아라’하면 잔소리처럼 여기고, 경각심보단 ‘한번쯤 우리끼리 어때’ 이런 위험한 생각을 갖고 있다”고 우려했다.
마약 중독의 위험성을 처절하게 느낀 당사자이자, 중독재활센터장으로서 그가 강조하는 건 예방교육과 치료 강화다. 박 센터장은 “유치원에서도 ‘담배냄새 싫어요’를 가르치는데, 왜 마약의 위험성은 가르치지 않을까”라며 “경각심을 줄 예방교육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처벌만이 능사가 아니란 점도 강조했다. 그는 “보통사람들은 마약이 병이란 걸 모르고 범죄 취급하지만, 마약 중독은 평생 짊어지고 가는 병”이라며 “(마약사범을) 검거한다고만 하면 오히려 숨을 수밖에 없다”고 했다. 그러면서 “‘병원에 가서 치료받을 수 있다’, ‘언제든지 도움을 얻을 수 있다’고 알려야 하고, 치료와 회복을 위한 모임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본인의 ‘의지’를 벼려야 한단 점도 당부했다. 박 센터장은 “전과 10범 넘는 사람도 고용노동부에서 지원하는 학원에 가서 자격증 따고 재활하니 10년 뒤 식당 차렸다고 연락오더라, 결혼 청첩장을 보내기도 했다”며 “어디서부터 잘못됐고, 무엇을 잘못했는지 자기 문제를 냉정히 바라보면서 의지를 다지고 주위 도움을 받으면 끊을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