X

잇단 ESS 화재에 배터리업계 '전전긍긍'

김겨레 기자I 2018.12.20 05:08:00

원인 미상 ESS 화재 올해만 15번째

17일 오전 7시 9분께 제천시 송학면의 한 시멘트공장 ESS에서 불이 나 41억원 상당(소방서 추산)의 재산피해가 났다. 사진=충북도소방본부
[이데일리 남궁민관 김겨레 기자] 올해 국내 에너지저장장치(ESS)에서 잇따라 화재가 발생하면서 배터리업계에 긴장감이 흐른다. 정확한 원인은 아직 규명되지 않았지만, ESS 핵심부품인 배터리에 의구심 어린 시선이 쏠리고 있기 때문이다.

19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부터 현재까지 16차례에 걸쳐 ESS 화재 사고가 발생하자 LG화학(051910)은 긴급 배터리 안전점검에 나섰다. 삼성SDI(006400)도 지난 8월 안전점검을 마쳤다.

ESS 화재가 계속 이어질 경우 배터리에 대한 신뢰성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불안감에 따른 조치다. 정확한 화재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지만, 대부분 발화점이 배터리였다는 점을 근거로 두 회사에 악재로 부각되는 모양새다.

배터리 업계에서는 억울함을 호소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한 배터리업계 관계자는 “배터리가 에너지를 저장하는 장치인만큼 다른 부품에서 문제가 생기더라도 불이 나는 곳은 배터리일 수 밖에 없는데 이를 배터리가 문제라고 규정하기 어렵다”며 “산업의 근간이 흔들릴 수도 있는 상황으로, 원인이 규명되기 전 억측은 위험하다”고 토로했다.

[이데일리 이미나 기자]
다른 관계자는 “ESS는 배터리뿐 아니라 배터리관리시스템(BMS), PCS(전력변환장치), EMS(에너지관리시스템) 등 다양한 부품들로 구성되는데, 어떤 부품이 문제가 있었는지 아직 밝혀지지 않은 상황”이라며 “또 ESS 화재 중 대부분이 태양광 연계 ESS에서 발생했던 점에 비춰 외부적 요인이 작용했을 수 있다는 추정도 가능한데, 배터리 문제로만 너무 부각되는 모양새”라고 설명했다.

특히 이 관계자는 전기차 배터리와 비춰 이번 ESS 화재가 배터리 문제가 아닐 수 있다는 의견을 피력하기도 했다. 그는 “전기차 배터리와 ESS 배터리는 구조가 아주 흡사하다. 동일 생산라인에서 전기차와 ESS 배터리를 생산하는 업체도 있을 정도”라며 “유사한 배터리를 사용하는 전기차에서 화재사고가 발생한 적이 없었다는 점을 고려하면 이번 ESS 화재 역시 배터리 문제가 아닐 가능성이 높다”고 주장했다.

일각에서는 각 부품별 기술력에 대한 문제라기 보다 유지·보수와 관리감독에 소홀하면서 화재가 발생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 중전기 업체 관계자는 “배터리 업체들은 PCS를 모르고, 반대로 PCS 업체들은 배터리를 모른 상태로 요구사항에 맞춰 부품을 공급하기 때문에 전체 설계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며 “또 오히려 각 부품의 문제라기보다 유지 및 보수와 관련 미흡한 안전규정도 문제”라고 설명했다. 일부 ESS 화재 현장에서는 결로 또는 누수의 흔적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국내 ESS는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확대 정책에 따라 보조금이 지급되며 빠르게 성장해왔다. 산업통상자원부가 집계한 올해 상반기 국내 ESS 설치량은 1.8GWh로 지난해 같은기간(89MWh)보다 20배 이상 급증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