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러한 가운데 65세 이상 고령 인구 중 65%는 직접 생활비를 마련해야 하는 처지다. 10년 전 조사 때보다 13.4%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일하기를 원하는 65~79세 고령자는 54.7%에 달했다. 반대로 자식이나 부모를 부양해주길 기대하는 노인들은 지난 10년 동안 38.3%에서 27.3%로 줄었다.
노인들은 빠른 속도로 발전하는 사회에서 적응하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가장 먼저는 경제력을 갖는 일이다. 지난달 29일 서울 영등포구에서 ‘아동 안전 지킴이’ 형광 조끼를 입고 학교 주변을 순찰하던 70대 A씨는 “학생들 하교 시간쯤에 학교 주변을 돌면서 순찰을 한다”며 “소소하게 용돈 벌이로 하는 것인데 대부분 마땅히 할 것 없는 노인들이 이 일을 하기 위해 몰린다”고 전했다. 이모(85)씨는 “집에서 직접 비누와 수세미를 만들어 판매하기 시작했는데 입소문이 여기저기 퍼져 연락이 온다”며 “손재주를 살려 용돈 벌이도 하고 좋다”고 말했다.
다만 A씨는 “노인 일자리를 줄인다고 하는데 내년에도 이 일을 할 수 있을지는 모르겠다”며 한숨을 내쉬었다. 정부는 국회에 제출한 내년도 예산 편성안에서 내년엔 전국적으로 공공형 노인 일자리를 올해보다 6만 1000개 줄인 54만 8000개로 축소하겠다고 보고했다.
식당과 카페 등에서 일상이 된 키오스크와 같은 ‘신문물’을 배우기 위한 노력도 이어지고 있다. 서울시는 25개 자치구에 1대씩 키오스크 체험관이 설치해 노인들이 디지털 사회에 적응할 수 있게끔 도움을 주고 있다. 서울시에 따르면 지난 4월부터 9월까지 총 6257명의 노인들이 체험관에 방문해 키오스크 교육을 받았다. 서울시 관계자는 “처음에 주저하던 어르신들도 배우고 나면 직접 하실 수 있다는 자신감이 생긴다고 말씀하신다”며 “참여율이 점점 늘어나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사회 시스템이 만들어낸 노인 일자리를 통해 이들이 자연스럽게 사회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순돌 이화여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어르신들이 파트 타임 일 등을 통해 사회에 지속적으로 참여케 하는 방향으로 사회가 나아가야 한다”며 “정부가 세금으로 만들어낸 일자리가 아닌 민간 등 사회 시스템에서 노인 일자리가 나와야 바람직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어르신들 또한 부양받는 처지가 아닌 독립적으로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역할을 다하도록 스스로 노후를 만들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