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들 종목은 모두 한국거래소가 당시 문 정부의 한국판 뉴딜 종합계획의 비전을 구체화해 개발한 K-뉴딜지수들을 추종한다. 올 초부터 금리 인상과 우크라이나 전쟁 등 리스크로 변동성이 큰 시장에서 뉴딜 ETF들이 담고 있는 성장주들은 부진한 주가 흐름을 보였다. 이후 금리 인상 속도 조절 기대감에 투자 심리가 살아났고, 성장주의 강세가 이어졌다.
고경범 유안타증권 연구원은 “정책 관련 펀드는 정권이 바뀌면 상관관계가 떨어지지만 예외로 뉴딜지수는 2차전지 산업의 구조적 성장과 시장·종목별 모멘텀에 상승세를 보였다”며 “뉴딜은 이전의 관제 펀드들과 비교할 때 개인투자자들이 원하는 수요에 부합하는 부분도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미래에셋자산운용 관계자는 “대표적으로 BBIG는 지난 20년간 꾸준히 성장한 산업으로, 정부 정책 방향과 함께 큰 틀에서 구조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배경이 뒷받침된다면 향후에도 수혜를 받을 여지가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한국거래소는 새 정부의 정책과 산업 트렌드에 맞춰 지수 개발 타당성과 시장 의견 수렴에 나설 수 있지만, 아직 구체적 협의는 없었다는 입장이다. 거래소 관계자는 “지수 개발에 있어 정부 정책과 산업 트렌드에 대해 상시 연구하고 있지만 지수로 개발 가능성과 시장에 미치는 영향, 투자 상품 활용성을 검토해야 한다”며 “예로 벤처기업 성장을 지원하는 정책이 나왔다고 하면 상장 문제로 인해 주가지수로 만들 타당성이 결여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운용사들도 새 정부의 정책 방향과 시장 트렌드를 고려해 투자 대상에 변화를 주는 것을 검토하고 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신규 편입, 수혜를 입게 돼 기대감이 있는 분야도 있지만 동시에 환경·그린 분야 뉴딜 ETF는 뉴딜과 혁신성장 사이에서 애매한 포지션이 될 수 있어 투자 위축이 우려된다”며 “해당 ETF들은 종목 교체, 다변화 등 대응책을 고민하고 있으며 구체적인 정부 정책이 정해지는 대로 세부안을 마련할 예정”이라고 했다.
고 연구원은 “정부는 정책펀드로 지원과 자금 공급 마중물 역할에 나선다고 하지만 업계에서 특별히 변화될 게 있는지는 의문”이라며 “뉴딜 때도 기존에 발표한 금액 대비 실제 자본시장에 이전된 규모가 못 미친다”고 말했다. 이어 “대부분 정책 관련 상품은 시장에 실제 선반영되고 기대감이 있는 상태에서 정부과 규제기관의 검토 이후 모멘텀이 지난 이후에 투자해 손실을 보는 경우도 있어 유의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