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럼에도 불구하고 전문가들은 현재 중국 주식 시장이 악재를 모두 반영해 가격 매력도가 높아졌다며 비중 확대를 권했다. 특히 중국 정부가 올해 경제성장률 목표치를 달성하기 위해 규제 완화 기조를 밝힌 빅테크 업종에 주목했다.
|
◇부동산發 경기둔화 우려에 中증시↓
4일 마켓포인트에 따르면 상하이종합지수는 최근 한 달 새(7월5일 종가 대비 이날 종가) 6.30% 하락했다. 같은 기간 미국 스탠다드앤드푸어스(S&P)500이 8.45% 넘게 상승하고 코스피가 5.61% 오르는 가운데 유독 크게 미끄러진 셈이다.
중국 및 홍콩 상장지수펀드(ETF) 수익률도 저조했다. 4일 금융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7월 한 달 간 국내 투자자가 사들인 ETF 중 월별 하락률 상위 10개 중 8개가 중국 관련 ETF로 나타났다 .
홍콩항셍H지수를 추종하는 ‘KODEX 차이나H레버리지’가 -18.10%로 한 달간 낙폭이 가장 컸다. CSI300 지수 수익률을 두 배 추종하는 ‘TIGER 차이나 CSI300레버리지(합성)’도 -14.26%을 기록해 하락률 2위에 올랐다.
마찬가지로 CSI300 지수 일간수익률의 2배를 추종하는 ETF인 ‘KINDEX 중국본토CSI300레버리지(합성)’은 -13.96%를 기록했다. 중국의 빅테크 주가 동향을 반영하는 항셍테크지수를 추종하는 ‘KBSTAR 차이나항셍테크’(-10.80%)와 ‘KODEX 차이나항셍테크’(-10.42%)도 10% 넘게 떨어졌다.
코로나19 재확산에 중국 경기 회복세가 주춤해진 영향으로 풀이된다. 올 2분기 중국 경제는 전년동기대비 0.4% 성장해 전기대비 2.6% 역성장했다. 이는 전년대비 성장률 컨센서스 1.2%를 밑도는 수준으로, 시장이 예상한 전기대비 하락률(-2%)보다도 컸다.
특히 부동산 업종이 부진했다. CSI300 업종별 7월 수익률에서 부동산은 -7.8%로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했다. 부동산 개발사들이 코로나19로 인해 주택 판매가 둔화되면서 시공을 중단했고, 주택 선분양자들이 모기지 상환을 거부하는 사례가 급증하면서다.
한편 예상보다는 중국 경기 회복세가 빠르게 이어지고 있다는 긍정적 전망도 있다. 중국 국가통계국은 지난 6월 산업생산과 소매판매가 각각 전년대비 3.9%, 3.1% 성장했다고 밝혔다. 특히 소매판매 증가율은 시장 전망치(0%)를 크게 웃도는 수준이다.
◇“미중갈등 커지며 반도체 등 국산화 수혜 기대”
이데일리가 중국주식 운용전문가 6인을 상대로 진행한 설문조사에서 이들은 중국 정책주 위주의 비중 확대를 권했다. 미중갈등이 고조되며 중국 정부가 첨단산업을 국산화하려는 의지를 밝힌 만큼 정책주가 수혜를 입을 것이란 전망이다.
고정희 한화자산운용 해외주식전략운용팀장은 “중장기적으로 미중 관계 불확실성 확대로 중국 정부가 국산화 비율이 낮은 사업에 대해서 지원을 강화할 것”이라며 “제조업 경쟁력 강화정책 측면에서 국산화율 상승이 기대되는 산업이 지속적으로 수혜를 받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특히 기술주와 친환경에너지 관련주가 수혜 업종으로 꼽혔다. 육진수 미래에셋자산운용 글로벌운용본부장은 “미중갈등의 반사 수혜 업종인 반도체, 정부가 지원하는 산업인 태양광과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 및 전기차 업종 등 펀더멘털이 우수한 종목을 선별적으로 매수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현 시점에서 홍콩과 중국 증시 모두 여러 악재를 반영해 지난 6월 상승분을 반납한 만큼, 향후 크게 반등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중국 정부가 정책적으로 뒷받침하는 영역 중에서도 성장 여력이 있는 분야에 주목해야 한다는 것이다. 웨이 황 신한자산운용 중국주식담당 매니저도 “태양광, 풍력, 전기차 및 자동차 부품, 산업 자동화 및 로봇과 같이 강력한 정책지원과 장기적인 성장 잠재력이 있는 분야에 중점을 둬야 한다”고 강조했다.
변동성 확대가 예상되는 국면에서 중국 정부가 규제 완화를 예고한 분야도 지켜봐야 할 요소로 꼽혔다. 지난달 28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정치국회의를 주재하고 빅테크를 겨눈 ‘홍색 규제’를 완화할 가능성을 시사했다.
심재환 한국투자신탁운용 최고투자책임자(CIO)는 “규제 완화와 관련해서 인터넷 이커머스 및 부동산주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며 “인프라와 자동차, 가전, 신재생에너지 등에서 정책 수혜가 예상된다”고 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