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외 흩어진 38점의 대동여지도…보물은 3점뿐

이윤정 기자I 2023.04.06 05:30:00

최근 일본서 ''대동여지도'' 목판본 환수
이건희 기증품 중 2건 확인…"사진 미공개"
국내외 더 발견될 가능성도
"대동여지도 연구 활발해지는 계기되길"

[이데일리 이윤정 기자] “지금까지 국내외에 대동여지도가 35점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어요. 그런데 최근 고(故) 이건희 삼성 선대회장의 기증품 중 대동여지도 2점이 있다는 것이 확인됐습니다. 이번에 일본에서 환수한 대동여지도까지 합하면 총 38점의 존재가 확인된 셈이에요.”(김기혁 부산대 지리교육과 명예교수)

역사나 지리학을 몰라도 김정호의 ‘대동여지도’는 누구나 한번쯤 들어봤을 정도로 유명한 문화유산이다. 실학자이자 지리학자인 김정호(1804~1866 추정)가 만든 조선시대 지도로 10리마다 점을 찍어 거리와 면적을 추정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김정호는 대동여지도를 만들기에 앞서 ‘청구도’와 ‘동여도’를 만들었다. 대동여지도는 이 지도를 보완해 만든 22첩의 병풍식 지도첩이다. 1861년 처음 제작·간행했고, 1864년에 재간했다.

당시의 간행 부수는 확실하게 알려진 바 없지만, 현재까지 확인된 판본은 30여 점이다. 2만1693점에 달하는 이건희 기증품 중 대동여지도가 있다는 것은 그간 알려지지 않았던 사실이다.

국립중앙박물관 관계자는 “현재 이건희 기증품 중 대동여지도 2건이 있는 것으로 확인된다”며 “하나는 온전한 형태의 전도(전체지도)이고, 다른 하나는 소실된 부분이 있는 분첩과 액자 형태”라고 말했다. 이어 “기증품 물량이 워낙 많아서 확인하는 데 시간이 걸린다”며 “현재 2만여점의 기증품 중 1만797건의 유물 정보를 국립중앙박물관 누리집에 공개했는데, 대동여지도는 아직 사진 등을 공개하지 않은 품목”이라고 설명했다.

최근 일본에서 환수한 대동여지도 갑자본. 병풍식으로 접힌 각 첩을 펼쳐서 세로 방향으로 늘어놓으면 커다란 지도가 된다(사진=문화재청).
◇30여점 중 보물 지정은 3건…국보는 ‘아직’

160여년 전에 만들어진 대동여지도는 오늘날 지도와 비교해도 손색이 없다는 평가를 받는다. 김정호는 우리나라의 국토를 남북 120리 간격으로 22층으로 나누고, 각 층에 해당하는 지역의 지도를 각각 1권의 책으로 엮었다. 국토 전체를 모두 22권의 책에 나눠 수록하고(분첩식), 각 권의 책은 병풍처럼 펴고 접을 수 있도록 제책한(절첩식) 것이다. 이렇게 제작된 22권의 책을 모두 펼쳐 연결하면 세로 약 6.7m, 가로 약 3.8m 크기의 대형 전국지도가 만들어진다. 대동여지도 원본은 아파트 3층 높이가 될 만큼 거대하다.

김정호는 국토의 뼈대가 되는 산줄기를 중심으로 우리 국토의 자연환경을 정밀하게 묘사했다. 백두산에서 비롯돼 방방곡곡 이어진 산줄기의 모습과 물줄기까지 섬세하게 표현했다. 무엇보다 ‘대동여지도’를 돋보이게 하는 것은 목판본으로 제작됐다는 점이다. 목판에 각종 지리정보를 판각해 이를 인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지리 지식의 폭넓은 보급을 도모한 것이다.

소장처별로 보면 국내에는 서울대 규장각, 국립중앙도서관, 부산대 도서관 등 도서관에서 11점의 대동여지도를 소유하고 있다. 국립중앙박물관, 서울역사박물관, 성신여대 박물관, 숭실대 박물관 등에도 10점이 있다. 국외에는 일본 동양문고, 국회도서관을 비롯해 독일 함부르크박물관, 미국 하버드대학 등에 14점이 보관돼 있다. 국내외를 막론하고 앞으로 더 발견될 가능성도 있다.

이중 보물로 지정된 대동여지도는 3건이다. 성신여대와 서울역사박물관, 서울대 규장각에서 소유한 대동여지도가 각각 1985년과 2002년, 2008년에 보물로 지정됐다. 다만 아직 국보로 지정된 건은 없다. 김기혁 교수는 “우리나라에 대동여지도 관련 전문연구소가 없다”며 “30여점 중 보물로 지정된 것도 몇점 되지 않는다”고 아쉬움을 토로했다.

일본에서 환수한 ‘대동여지도’의 울릉도 부근(사진=뉴시스).
최근 일본에서 환수한 목판본 ‘대동여지도’는 ‘동여도’ 내용을 필사로 적은 희귀본이다. 나중에 만들어진 1864년의 갑자본(목판본)으로 일본의 한 고서점에서 발견됐다. 동여도에는 조선 시대의 교통로와 군사 시설 등의 지리 정보를 비롯해 약 1만8000개의 지명이 담겨 있다. 이번 지도에서 울릉도 일대가 묘사된 14첩에는 울릉도행 배가 떠나는 위치가 적혀 있다. 기존 대동여지도 판본에는 없던 내용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김 교수는 “대동여지도와 동여도를 합친 지도가 발견된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조선의 지도 제작 기술을 살펴볼 수 있는 매우 희귀한 연구 자료”라며 “이번 지도의 환수가 잠시 멈췄던 대동여지도 연구를 다시 시작할 수 있는 계기가 됐으면 좋겠다”고 기대감을 드러냈다.

최근 일본에서 환수한 ‘대동여지도’(사진=뉴시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