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스바겐이 정부 인증 통과를 위해 배출가스 저감장치 프로그램을 조작했다는 스캔들 파장이 커지고 있다. 미국에서 리콜한 차종은 국내에도 5만9000여대 판매됐다. 실제 규모는 이보다 더 클 전망이다. 아직 공식 발표는 없지만 올 상반기 이전에 나온 유로5 기준 2.0 TDI 엔진 적용 모델은 대부분 대상이 될 것으로 보인다.
결론적으로 주행 성능에 직접적인 악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은 극히 낮다.
문제가 된 폭스바겐의 매연저감장치(DPF, 디젤 분진 필터)는 오히려 작동했을 때 성능이 떨어진다. 폭스바겐이 인증 때만 DPF를 작동토록 전자제어장치(ECU)를 조작한 것도 차량 성능을 유지하기 위한 것이었다.
DPF란 엔진에서 나오는 탄화수소 찌꺼기 등 유해물질을 모아 필터로 걸러낸 후 일정량 이상 쌓이면 연료를 추가로 분사해 550도 고온으로 태워주는 장치다. 자동차 배출 매연(PM)을 50~80%까지 줄여준다. 국내에선 2005년부터 모든 디젤차 부착이 의무화했다.
일부 운전자는 이 기능에 스트레스를 느끼고 심지어 불법적으로 이 장치를 떼기도 한다.
|
그렇다고 마냥 좋아할 순 없다. 운전자가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환경 오염의 주범’이 됐기 때문이다. 자동차 배출가스는 대기 환경오염의 약 70~80%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미국 환경보호청(EPA)은 폭스바겐 해당 차종의 질소산화물(NOx) 배출량이 기준치의 10~40배 이상 많았다고 발표했다.
왜 미국에서는 문제가 되고 국내에선 문제가 안 됐을까. 사실 수치상 규제는 우리가 더 엄격하다. 우리가 채택한 유럽의 자동차 배출가스 기준 ‘유로6’는 세계 최고 수준의 환경 규제로 미국과 일본이 현재 적용 중인 ‘글로벌, 4b’보다 엄격하다는 게 대체적 평가다.
유로6의 질소산화물(NOx) 배출 기준은 80㎎/㎞, 입자상물질(PM)은 4.5㎎/㎞다. 기존 유로5 때의 180㎎/㎞, 5㎎/㎞ 때보다 훨씬 낮아졌다.
문제는 이 기준이 인증 조건 때만 적용된다는 것이다. 미국은 사후조사로 규제할 법적 근거가 있지만 국내에선 처벌 기준이 모호하다. 우리도 유럽에 맞춰 2017년 9월부터 실주행 검사를 도입할 예정이다.
한편 자동차 배출가스 저감장치에는 DPF 외에 요소수를 이용한 SCR(선택적 촉매 감소기술)이나 EGR(배기가스 재순환 장치)도 있다. 메르세데스-벤츠·BMW 같은 고급 디젤 모델 중심으로 적용돼 있으며 유로6 의무화와 함께 더 보편적으로 사용될 전망이다. 이번 미국 조사 때 이 기술 적용 모델은 문제가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