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무역협정(FTA) 시대 시장 개방화 물결에서 사료 해외 의존도는 점점 높아지고 있다. 2019년 기준 사료를 포함한 곡물 자급률은 21.0%로, 50년 전인 1969년(73.6%)보다 50%포인트 이상 낮아졌다. 식량 자급률(45.8%)의 절반도 채 안된다. 반면 코로나19 팬데믹(감염병 대유행) 탓에 국제 곡물가격은 상승세다. 해외에서 밀려드는 소고기·돼지고기 등에 대응하려면 가격 경쟁력이 필수인데, 수입 사료값이 오르다 보니 비용 부담은 늘고 있다.
|
◇맛 좋고 건강에 좋은 국산 조사료, 소 입맛에 ‘딱’
통상 한우농가는 영양분이 풍부한 옥수수 등 곡물사료를 수입해 소들에게 급여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국제 곡물가격 상승으로 사료비 부담이 커졌다. 실제 한국사료협회에 따르면 이달 9일 기준 주요 사료 원료인 옥수수 가격은 톤당 370달러로 전년동기대비 77.0%나 급등했다. 농촌진흥청에 따르면 지난 10년 동안 한우 거세우 한 마리당 사료비는 26%(약 60만원) 올랐다. 한우값이 올라도 원가인 사료비가 늘면서 실제 체감 효과는 크지 않은 상황이다.
하지만 수입산이 아닌 국산 조사료를 급여하고 있는 김대호 형환축산 대표에게 해외 곡물사료 가격 상승은 남의 일이다. 김제 지역 3개 농장에서 비육·번식용 등 한우 300여마리를 사육하는 김 대표는 직접 조사료를 배합·발효하는 섬유질배합사료(TMR)를 급여하고 있다. 건초 등 조사료를 TMR 기계에 넣고 특정 조건에서 발효시켜 소들에게 주는 방식이다. 대개 조사료는 곡물사료에 비해 가격이 낮지만 영양분이 떨어져 한우 품질이 낮거나 더 많은 양을 먹여야 하지만 TMR은 이런 한계를 넘었다는 평가다.
김 대표는 “곡물 배합사료를 업체로부터 공급 받는 방식보다 30~40% 비용 절감 효과가 있다”며 “사료 맛이 뛰어나 소들이 맛있게 먹을 뿐 아니라 미생물을 포함했기 때문에 일반 배합사료보다 소화율과 흡수율(영양분이 흡수되는 비율)도 높다”고 설명했다.
|
◇사료비 줄이고 품질 높이니…한우농가 소득 ‘쑥’
한우농가의 매출은 소고기 품질과 비례한다. 한우 등급(1~1++)에 따라 한 마리당 가격이 수 백만원 씩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 미국산·호주산 소고기가 저렴한 가격을 무기로 국내에서 빠르게 점유율을 높이는 상황에서 한우 품질은 국내 농가들의 생존 요건이기도 하다.
곡물사료의 영양분이 조사료보다 높은 편이지만 TMR은 적정 비율 배합·발효를 적용하면 더 큰 효과를 볼 수 있다. 김 대표는 약 7년 전부터 TMR 배합과 발효 방식을 직접 연구해 최적의 방식을 개발해 1++등급 출현율을 높이는 성과를 거뒀다. 실제 국립축산과학원에 따르면 4개 농가(약 1200마리)에 3~5년간 한우 자가 TMR 제조 기술을 도입한 결과 사료비는 35% 줄었지만 1++등급 출현율은 12.9%포인트 상승했다. 한우 한 마리당 소득은 76만원에서 158만원으로 2배 이상 늘었다.
인근에서 한우 번식농가를 운영하는 이용태 삼화목장 대표는 “예전에는 송아지 경매에서 평균 가격에도 못 미쳤지만 김 대표에게 TMR와 질병 관리 등 사육 방식 노하우를 전수 받은 후 최근 경매 상위권을 차지하는 경우가 많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현재 FTA 보완 대책 등을 통해 축산 농가의 경쟁력 강화를 추진 중이다. 한우 농가들은 TMR 등을 비롯한 기술 지원을 강화할 필요가 한다고 제언했다. 김제에서 야곱농장을 운영하는 문재용 대표는 “시장이 개방되면서 한우농가들도 차별화된 기술을 갖고 있지 않으면 살아남기 어려운 시대가 됐다”며 “영세 중소농가들이 비용 부담을 줄이고 이론이 아닌 실제 생활에서 쓸 수 있게 실효성 있는 기술을 전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제작 지원: 2021년 FTA이행지원 교육홍보사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