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7월 누적 기준 국세가 8조8000억원 규모 덜 걷힌 가운데 현재 상황이 유지될 경우 올해 세수결손 규모가 30조원을 웃돌 것으로 전망, 과연 적자국채 발행 없이 세수결손을 메울 수 있겠냐는 이유에서다.
|
정부는 올해 연간 국세수입이 작년 실적보다 23조2000억원 늘어난 367조3000억원일 것으로 예상했지만 7월 누적 기준으로만 보면 약 9조원이 부족한 셈이다. 이대로라면 올해 세수결손 규모가 30조원을 웃돌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이에 채권시장 참여자들 사이에서도 추경에 대한 의구심이 감지된다. 한 시장 참여자는 “정부가 계속 국채발행을 안 한다고 하는데 세수펑크를 막을 방법이 없어 보인다”면서 “기금도 거의 바닥이고 기존에 투자한 자금들도 많아 회수도 어려워 보이는데 추경이 없을 수 있는지 의문”이라고 짚었다.
실제로 최근 현 정부의 적자국채 발행이 늘어날 것이란 분석도 이 같은 우려를 자극했다. 안도걸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은 기획재정부가 국회에 제출한 ‘2024~28년 국가재정운용계획’ 을 분석한 결과 윤석열 정부 5년간 적자국채 증가 예상치는 382조원으로 문재인 정부 5년 (316조원) 대비 21% 더 늘어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다만 현 정부 ‘건전재정’ 기조는 현재에도 이어지는 상황이다. 지난해에도 56조원 규모 세수결손을 정부기금을 통해 막으며 추경을 하진 않았던 만큼 올해에도 각종 기금 재원과 불용을 활용해 세수 대응을 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여의치 않은 기금 재원보단 불용을 좀 더 활용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또 다른 시장 참여자는 “작년보다는 어쨌든 세수부족분이 적어 압박이 크지 않은데다 당국이 발표하는 연내 재추계 결과를 지켜봐야겠다”면서 “다만 문제는 지금까지 추경을 안 했던 부작용, 압력이 내년도 국채 발행량 급증으로 표현이 된 만큼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전했다.
한편 정부는 이달 중 올해 세수 재추계를 발표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