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 포천 출신인 고인은 서울대 법대를 졸업한 후 서울지법 판사와 서울지검 검사를 거친 뒤 전두환 정권 출범 직후인 1981년 11대 총선에서 민정당 소속으로 처음 당선됐다. 노태우 정부에서는 내무부 장관을 역임했다. 또 전두환·노태우·김영삼 정부에서 각각 한 차례씩 모두 세 차례 원내총무(원내대표)를 맡았다. 대화와 타협을 존중해 여야 의원들로부터 ‘이한동 총무학’이란 신조어가 생겨나기도 했다. 다만 대권과는 연이 닿지 않았다. 1997년 신한국당(국민의힘 전신) 대선후보 경선에서 이른바 ‘9룡’(龍)의 한 명으로 이회창 이인제 후보 등과 맞붙었으나 이회창 대세론을 넘어서지 못했다.
대선 후 탈당해 김종필(JP) 전 총리 중심의 자민련 총재로 변신했다. 이른바 ‘DJP연합’으로 출범한 김대중(DJ) 정부에서는 김종필 박태준 전 총리에 이어 3번째로 총리직을 맡기도 했다. 헌정사상 처음으로 인사청문회를 통해 임명된 국무총리였다. 2002년에는 ‘하나로국민연합’을 창당해 다시 대통령 선거에 출마했으나 낙선했다. 이후 한나라당에 복당한 뒤 정계를 은퇴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9일 오후 유영민 비서실장과 이철희 정무수석을 이 전 총리의 빈소에 보내 고인을 기리고 유족들을 위로했다. 문 대통령은 유 실장에게 “대통령을 대신해 우리나라 정치에서 통합의 큰 흔적을 남기고 지도력을 발휘한 이 전 총리님을 기리고, 유족들에게도 위로의 말씀을 전해달라”는 취지로 언급했다고 유 실장이 설명했다. 여야의 애도 물결도 이어지고 있다. 고용진 더불어민주당 수석대변인은 지난 8일 서면 브리핑을 통해 “40여년 정치인생 동안 초당적 협력과 협치를 중시했던 의회주의자”라고 평가했다. 김예령 국민의힘 대변인은 같은 날 구두논평에서 “국민통합과 포용의 정치, 대화와 타협을 중시한 의회주의자로서 많은 후배 정치인들의 귀감이 되어주셨다”고 고인을 기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