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보건복지부가 공개한 2023년 기준 의료서비스 이용 현황, 보건의료 질 통계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한 해 동안 우리나라 국민 1명이 병·의원을 찾아 의사(한의사 포함) 진료를 받은 횟수는 18.0회로, 전년(17.5회)보다 2.9% 늘었다. 이는 한 달 평균 1.5회다. 이는 OECD 회원국 평균(2022년 6.4회)의 2.8배에 달한다.
외래진료를 성별로 나눠보면 남성은 17.4회, 여성은 21.9회 이용했다. 외래진료 횟수는 연령이 높아질수록 많아져 75∼79세에서 40.9회를 기록했다. 반면 20∼24세는 8.9회로 유일한 한 자릿수 대였다.
|
1인당 치과의사 외래진료 횟수의 경우 2023년 1.7회로, 전년(1.6회)보다 소폭 늘었다. 이 또한 2022년 기준 OECD 평균(1.0회)을 웃도는 수치다. 치과 진료까지 포함한 1인당 외래진료 평균 횟수(19.6회)보다 외래진료를 더 많이 이용한 지역은 △서울(22.8회) △대구(22.5회) △부산(22.2회) △대전(22.0회) △전북(21.4회) △제주·광주(20.1회) 등이었다.
진료실을 찾아가는 횟수는 증가했지만, 환자의 만족도는 다소 하락했다. 16세 이상 환자를 대상으로 물었을 때 의사의 진료 시간이 충분하다고 느낀 환자 비율은 2023년 83.4%에서 지난해 82.5%로 0.9%포인트 하락했다. 의사의 설명이 이해하기 쉽다고 경험한 환자 비율도 같은 기간 92.2%에서 91.8%로 0.4%포인트 내렸다.
환자로서 궁금하거나 걱정스러운 점을 말할 기회를 얻은 경험의 비율은 91.0%에서 88.2%로 하락했다. 의사로부터 예의와 존중을 받으며 치료받은 경험의 비율도 95.5%에서 93.4%로 떨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