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특히 금융위와 금감원은 차관급 정무직 인사로, 대통령 권한대행이 임명권을 행사하기엔 정치적 부담이 따른다. 앞서 더불어민주당은 권한대행 한덕수 총리의 인사권 행사를 ‘알박기’로 규정하며 강하게 제동을 걸었다. 이 때문에 1급 이하 승진 인사도 연쇄적으로 지연되며 조직 운영에도 차질이 불가피하다.
이복현 원장의 거취도 초미의 관심사였다. 지난 2일 라디오 방송에서 상법 개정안 거부권 행사에 반발해 사의를 표명했지만 이후 금융상황 점검회의와 F4 회의에 연이어 참석하며 당분간 임기를 채울 가능성이 커졌다. 금융권 관계자들은 “F4 회의의 안정적 유지가 시장에 주는 신호가 크다”고 했다.
기자 Pick
또 하나의 중대한 과제로 꼽히는 건 가계부채 관리다. 최근 집값 반등 흐름과 맞물려 전세대출, 주택담보대출이 다시 증가세를 보이면서 금융당국은 부동산발 금융 불안정 가능성을 경계하고 있다. 특히 금리 인하 기대감과 규제 완화 흐름이 맞물리면 대출 수요가 급증하며 부채 총량 관리에 실패할 수 있다.
금융당국은 연초부터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 강화, 가계부채 총량관리, 토지거래허가구역 재지정 등을 통해 과열 재진입을 막겠다는 방침을 세웠다. 그러나 정책 연속성을 확보하려면 강한 리더십과 명확한 메시지가 필수라는 점에서 수장 공백이 변수로 작용할 수밖에 없다. 당국의 시그널이 흐려지면 시장에 잘못된 기대감이 퍼지고 다시 부채 주도 성장이 반복되는 구조로 이어질 수 있다.
한 시중은행 관계자는 “대행 체제에서는 규제 강화 같은 민감한 정책을 단행하기 쉽지 않다”며 “당분간 부동산 시장이 정책 공백 상태를 틈타 탄력을 받을 가능성도 있다”고 우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