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퓨리오사AI는 지금까지 총 1700억 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했으나, AI 칩 개발과 양산에는 그 이상의 자금이 지속적으로 필요하다. 현재 퓨리오사AI는 산업은행 등을 중심으로 시리즈C 브릿지 라운드 투자 유치 마무리 단계다. 당초 목표 금액이었던 600억원을 초과한 투자금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국내 VC 시장에서 딥테크 기업에 대한 대규모 투자가 활발하지 않은 만큼, 목표한 자금을 조달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우려는 여전하다.
특히 국내 VC들은 비교적 단기간에 투자 회수가 가능한 사업 모델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이에 반해 AI 반도체 산업은 개발 기간이 길고 초기 투자 비용이 크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스타트업 투자와는 결이 다르다. 퓨리오사AI가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기업임에도 불구하고, 국내 투자 시장에서 성장 자금을 원활히 확보하기 어려운 이유가 여기에 있다.
퓨리오사AI 사례는 국내 벤처투자 시장의 구조적 문제를 드러낸다고 일부 전문가들은 말한다. 글로벌 시장에서는 엔비디아, 인텔 등 AI 반도체 기업들이 수십조 원 규모의 투자를 유치하며 경쟁력을 키우고 있지만, 국내에서는 미래 산업에 대한 장기적 투자에 소극적인 분위기가 지배적이라는 설명이다.
한 VC 관계자는 “AI 반도체는 국가 경쟁력을 좌우할 핵심 산업이지만, 국내에서는 이와 같은 딥테크 분야에 대한 대규모 투자가 쉽지 않다”며 “펀딩 환경이 개선되지 않는다면 글로벌 시장에서 국내 기업들의 입지는 더욱 좁아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다른 한 투자업계 관계자는 “퓨리오사AI가 지속적인 투자 유치와 양산에 성공한다면, 국내에서도 글로벌 수준의 AI 반도체 기업이 독립적으로 성장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입증하는 사례가 될 것이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