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저 앞에 가득 찬 젊은층은 윤 전 대통령 측이 따로 모았다. 떠나기 전 관저 앞에서 20대, 30대 지지자들과 인사를 하겠다며 200여명을 모으라고 지시했다. 청년들을 모은 신의한수 측은 윤 전 대통령이 가기 전 “악수하지는 말고 조심히 환송하라. 가시는 길에 눈물 흘리라”고 당부한 바 있다.
그렇게 모인 청년들에게 윤 전 대통령은 손을 흔들며 인사했다. 가까이 다가가서 악수를 나누고 포옹을 하기도 했다. 이에 지지자들이 눈물을 훔치자 토닥이며 달래주는 모습 역시 확인할 수 있었다.
오후 5시 16분경 윤 전 대통령은 관저 반대편 도로에서도 차에서 내려 잠시 지지자들을 만났다. 그가 경호원을 대동하고 차에서 내려 모습을 드러내자 지지자들은 “와와” “아악” 함성을 지르며 삽시간에 몰려왔다. 비명으로 들릴 정도의 환호성과 탄성이 주변을 뒤덮었다. 윤 전 대통령이 차에 올랐지만, 지지자 일동은 미련을 놓지 못한 듯 차를 따라잡으려 달렸다. 인도에는 급하게 뛰어가는 사람들로 가득 차 위험한 광경이 연출됐다.
윤 전 대통령은 차에 오른 이후에도 창문을 열고 지지자들을 보며 인사했다. 차가 천천히 간 터라 인도를 메우고 있던 지지자들은 윤 전 대통령과 눈을 마주칠 수 있을 정도였다. 자리에 있는 누구도 차에서 눈을 떼지 못했다. 그 사이에서 “엉엉” 곡소리가 터져나왔다. 한 노인은 얼굴을 완전히 구긴 채, 나오는 울음소리를 간신히 막아냈다.
얼굴이 붉어진 채 발걸음을 떼지 못하는 이도 더러 있었지만, 대부분은 “서초로 걸어서 가자”고 목소리를 높였다. 인도를 꽉 메울 만큼의 지지자들이 한남대교 쪽으로 발걸음을 옮겼다.
이날 윤 전 대통령은 파면된지 일주일 만에 서초동 사저로 돌아갔다. 사저로 돌아간 윤 전 대통령은 자신의 내란 혐의 재판 준비에 총력을 기울일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