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자율주행하고 양팔 달린 로봇, 물류센터 상품 피킹·운반 척척

김범준 기자I 2025.04.22 17:15:34

22일 경기 킨텍스 ''2025 국제물류산업대전'' 가보니
CJ대한통운-레인보우로보틱스 이동식 양팔로봇 선봬
검수 포장 역할 실증…"AI 휴머노이드 물류로봇 목표"
트위니, 이송로봇 ''나르고 오더피킹''에 입출고 기능 도입

[고양=이데일리 김범준 기자] 22일 경기 고양시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2025 국제물류산업대전’은 다양한 물류 현장에서 도입 가능한 이동식 양팔로봇과 자율주행 물류로봇(AMR)이 참관객들의 눈길을 끌었다. 개막 첫날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도 현장을 찾아 CJ대한통운과 AMR 기업 트위니 등 주요 참가 기업 부스를 살펴봤다.

22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2025 국제물류산업대전’에서 CJ대한통운과 레인보우로보틱스가 협업한 이동식 양팔로봇이 상품을 피킹해 옮기는 과정을 시연하고 있다.(영상=김범준 기자)
CJ대한통운(000120)은 레인보우로보틱스(277810)와 협업한 이동식 양팔로봇 ‘RB-Y1’ 모델을 선보였다. ‘인공지능(AI) 휴머노이드 물류로봇’을 목표로 연구·개발(R&D)을 지속해 올해 말부터 물류센터 현장에서 피킹(주문된 제품을 창고에서 뽑아내는 일) 작업에 투입하는 실증을 진행할 예정이다. 검증된 기술을 기반으로 주요 거점 물류센터에 순차 적용할 계획이다.

CJ대한통운이 이날 현장에서 시연한 이동형 양팔로봇은 아직 연구 단계로, 로봇과 유선으로 연결된 조종기를 통해 원격으로 제어했다. 조종자의 팔 움직임에 맞춰 로봇의 양팔 움직임이 그대로 구현되고 AI가 액션 데이터를 모방 학습한다. 집게형 그리퍼가 지름 최대 10㎝, 양팔이 각각 최대 3㎏ 물건을 파지해 옮길 수 있다.

향후 원격 조종기 없이 자율성과 유연성을 갖춘 AI 휴머노이드 물류로봇을 개발해 국내 최초 지능형 물류로봇 시스템을 갖추는 게 목표다. CJ대한통운 관계자는 “궁극적으로 전국 물류센터 현장 자동화 설비에 휴머노이드 물류로봇을 투입해 협소한 공간에서도 상품을 넣고 꺼내고 검수 포장을 하는 공정을 목표로 협업과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앞서 양사는 업무협약(MOU)을 체결하고 물류 현장에 최적화된 AI 휴머노이드 플랫폼의 공동 개발과 단계적 상용화를 추진하고 있다. 레인보우로보틱스의 기술 원천인 휴머노이드 로봇 플랫폼과 CJ대한통운의 에이전틱 AI 기술이 결합해 스스로 판단하고 작업을 수행하는 고도화된 물류로봇을 탄생시킬 예정이다.

CJ대한통운은 실제 물류센터에서 로봇이 적용 가능한 수작업 공정을 발굴하고 로봇이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AI 기반 소프트웨어 기술을 직접 개발한다. 레인보우로보틱스는 하드웨어 기술력을 바탕으로 물류센터 구조 변경 없이 빠르게 도입할 수 있는 물류 특화 로봇 플랫폼을 제공한다.

22일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2025 국제물류산업대전’에서 박상우(왼쪽 사진 맨 왼쪽) 국토교통부 장관이 천영석(왼쪽 사진 오른쪽) 트위니 대표의 사업 발표를 청취하고 있다. 오른쪽 사진은 시연 중인 트위니 자율주행 물류로봇 ‘나르고 오더피킹’ 모습.(사진=김범준 기자)
트위니는 자율주행 물류이송 로봇 ‘나르고 오더피킹(Nargo Order Picking)’ 모델을 전면에 내세웠다. 원천 기술력으로 확보한 자기 위치 추정 기술을 접목하고, 동시 위치 측정 및 지도 작성(SLAM) 기술을 활용해 공간의 구조를 이해한 다음 목적지로 스스로 이동하고 경로를 실시간으로 계획할 수 있도록 개발했다. 현재 참물류, 용마로지스, 한익스프레스 등 현재 전국 21곳 물류센터에서 나르고 오더피킹 156대를 운영 중이다.

나르고 오더피킹은 근로자의 단순 반복 이동을 대체해 효율성과 정확성 등 전체 생산성을 높여준다. 개별 업체 피킹 시나리오에 맞춰 적재함을 자유롭게 커스터마이징할 수 있다. 설비 및 구조 변경 없이 평균 2주 안팎이면 개별 모델 구축과 안정화를 마치고 즉시 도입할 수 있다. 또한 상품 입·출고 기능을 탑재한 신규 제품을 올 하반기 중 출시할 계획으로, 현재 시스템을 개발해 일부 고객사 현장에서 베타 버전을 테스트 중이다.

천영석 트위니 대표는 “신규 또는 기존 물류센터에서 당장 로봇을 투입해 업무 속도는 빠르게 하고 비용은 절반으로 줄이는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면서 “사람처럼 움직이는 완전한 자율주행 로봇을 목표로, 올해부터는 국내뿐만 아니라 미국, 유럽, 일본 등 해외 수출을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국통합물류협회(KILA)가 주최하고 국토교통부가 후원하는 국제물류산업대전은 최첨단 물류 설비·장비를 선보이는 국내 최대 규모 물류산업 전시회로 올해 15회째를 맞았다. 이날부터 오는 25일까지 나흘간 열리는 이번 전시회는 역대 최대 규모인 총 170개 기업이 850개 전시관 규모로 참가한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Not Author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