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사실상 모든 교역국에 추가 관세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한국의 상호관세율은 25%다. 하지만 국내 패션업계는 국내보다 해외 상호관세율에 집중했다. 현재 영원무역(111770), 한세실업(105630), 세아상역 등 국내 대표 패션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 업체들은 대부분 베트남, 방글라데시, 캄보디아 등 동남아 국가에 생산기지를 두고 미국에 제품을 공급하고 있어서다. 이들 국가는 미국으로부터 각각 46%, 37%, 49%의 상호관세를 부과받았다. 국내 패션 OEM 업계의 타격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그나마 다행인건 트럼프 행정부가 90일간의 상호관세 유예를 둔 점이다. 당장의 피해는 피했지만, 상호관세 대응과 관련해 패션업계의 불안과 혼란은 점차 커지고 있다.
유 전 본부장은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이 41세때인 1987년, 10만달러를 들여 뉴욕타임즈에 광고를 냈는데 당시에도 무역적자를 내는 국가를 상대로 관세를 더 매겨야 한다는 주장을 펼쳤다”며 “40여년간 갖고 있던 트럼프 대통령의 철학인 만큼, 임기내내 리스크가 상존할 수 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도 “그나마 긍정적인 건 상호관세 정책으로 미국 주식, 채권, 달러가 ‘트리플 약세’를 기록하는 등 시장의 반응이 컸다는 점”이라며 “트럼프 행정부가 이러한 시장의 반응을 볼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
유 전 본부장은 “소비재는 미국 행정부에서도 신경 쓸 수밖에 없다”면서 “과거 트럼프 행정부 1기때도 중국에 무역법 301조를 근거로 1단계 중간재, 2단계 자본재 순으로 관세를 부과했는데 소비재인 섬유나 의류 등은 4순위로 7.5%만 부과한 전례가 있다”고 말했다.
국내 패션업계 입장에선 주요 생산기지인 동남아 지역에 부과될 상호관세가 가장 큰 문제다. 현재 한세실업은 제품의 절반을 베트남에서 만드는데, 이중 미국으로의 수출 비중이 85%에 달한다. 영원무역도 방글라데시에서 70%, 베트남에서 20% 정도를 생산한다.
유 전 본부장은 패션업계도 해외 생산국가들의 움직임을 점검하면서 대응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는 “현재 동남아 국가들이 미국에 적극적인 제스처를 보이고 있는데, 이에 따라 국가별로 다시 책정이 될 가능성이 있다”며 “국내 패션 기업들도 국가별 생산량 조절 등을 위해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대응해야 한다”고 했다. 그는 또 “이번 관세정책이 중국을 겨낭하고 있는 만큼 미국 관세당국에서 우회수출 문제를 더 중점적으로 점검할 것”이라며 “자칫 포장 등 최종적인 부분에 있어서도 (관세를) 때릴 수 있고, 허위 신고 압박도 있을 수 있는 만큼 컴플라이언스(규정준수) 체크에 더욱 신경써야 하는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컨퍼런스에서 강연한 황민서 김앤장 변호사는 원산지 증명 시스템을 법적으로 미리 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황 변호사는 “상호관세 관련 국내 패션업체들이 미국으로 수출할 경우 원산지를 어디로 볼 건지에 대한 법적 유권해석을 명확히 받아놓을 필요가 있다”며 “이 경우 관세율이라든지 리스크를 좀 줄일 수는 여지가 있어 실제 일부 기업들은 지난해부터 관련 작업을 해온 곳들이 꽤 있다”고 설명했다.
상호관세 외에도 미국이 중국 선사의 국제해상운송서비스에 대해 수수료를 부과하는 문제도 국내 패션업계엔 부정적 영향이 예상된다는 의견도 나왔다.
송지연 김앤장 변호사는 “미국 무역대표부(USTR)가 올 1월 해운산업에서 중국의 지배적 행위가 불합리하다며 입항수수료를 중국 선박에 부과하겠다고 했고, 지난 17일 최종 조치가 발표됐다”며 “국내 패션업계가 해외에서 생산해 중국 선사를 통해 미국으로 보내는 제품들도 꽤 있는 만큼 타격이 있을 수 있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