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尹 ‘사저정치’ 무산되나
국민의힘 대선 주자인 나경원 의원은 15일 기자들과 만나 “(윤 전) 대통령을 자꾸 이렇게 경선 한복판으로 끌어들이는 것은 저는 적절하지 않다고 생각한다”며 “대통령의 마음을 파는 모습도 안 좋고 대통령을 자꾸 언급하는 것도 좋지 않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의 공약으로 우리의 정책에 대해서 이야기를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나 의원은 탄핵 정국에서 윤 전 대통령 탄핵에 적극적으로 반대한 인물이다. 그는 윤 전 대통령 파면 직후 윤 전 대통령을 접견하며 대선 출마 권유를 받은 걸로 알려졌다. 나 의원 캠프에도 친윤으로 분류되는 의원들이 대거 포진했다. 이 때문에 윤심이 나 의원에게 있는 것 아니냐는 해석도 나왔다.
친윤에 가까운 홍준표 전 대구시장도 윤심과 거리를 뒀다. 홍 전 시장도 이날 방송 인터뷰에서 윤심 논란에 관해 “제가 만들려는 세상은 윤석열 정권과 전혀 다른 새로운 나라”라며 “나는 거기(윤심)에 큰 관심을 두지 않는다”고 거리를 뒀다.
이 같은 상황은 이달 4일 윤 전 대통령이 파면된 직후와 대조된다. 파면 직후 윤 전 대통령은 국민의힘 지도부와 대선 주자와 만나며 건재함을 과시했다. 친윤 주자들도 윤 전 대통령과의 회동·통화 내용을 공개하며 윤심이 자신에게 있다는 걸 시사했다. 윤 전 대통령이 이번 대선에서도 이른바 ‘사저정치’를 통해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려 할 것이란 해석이 나온 이유다. 국민의힘 대선 경선 구도 역시 친윤(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나 의원·홍 전 시장) 대 반윤·비윤(안철수 의원·한동훈 전 당 대표)로 명확히 갈렸다.
한동훈 “민심이 윤심보다 5000만 배 중요”
시간이 지나면서 정치적 상황이 변화했다. 윤 전 대통령은 관저에서 퇴거하고 내란죄 형사재판을 받는 처지가 됐다. 경선에서도 반윤·비윤계에선 오세훈 서울시장과 유승민 전 의원이 경선 참여를 포기해 안 의원·한 전 대표로 주자가 압축됐지만 친윤 주자는 여전히 여럿이다.
반윤·비윤 진영에선 윤 전 대통령의 대선 개입을 여전히 강하게 경계하고 있다. 유정복 인천시장은 이날 윤 전 대통령과의 거리두기에 대해 “필요하다면 탈당도 한 방법일 수 있다”며 “과거엔 당에서 출당시키는 조치도 있었다”고까지 말했다. 한 전 대표도 “저를 제외한 다수 후보들이 그 윤심이라는 것을 얘기하고 윤심팔이를 하고 있는 것 같다”며 “지금 대한민국에서는 민심이 윤심보다 딱 5000만 배 더 중요하다”고 했다.
다만 변수는 있다. 친윤계 일각에서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를 반(反) 이재명(더불어민주당 전 대표) 단일후보로 옹립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 대행은 윤 전 대통령과 임기를 함께한 상징 자본을 갖고 있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윤 전 대통령은 탄핵 정국을 거치며 결집한 지지층을 통해 계속 영향력을 행사하려 할 것”이라며 “다만 대선 후 전당대회를 거치면 영향력이 약화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