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어서 “전국 단위기 때문에 지도까진 아니어도 어떤 구역 어떤 기준으로 위험지역으로 선별할지 고민 중”이라며 “이 부분을 어떻게 대외적으로 공개해 시민들이 주변을 안심하고 걷거나 운전할 수 있을지 구상 중”이라고 덧붙였다.
전날 서울시는 ‘지하공간 관리 혁신안’을 발표했지만 ‘지반침하 안전지도’에 대해서는 “내부 참고용으로 불필요한 오해를 불러올 수 있다”며 공개하지 않았다.
전문가들도 국민의 안전과 직결된 사안인 만큼 지반침하 관련 지역 정보는 공개가 필요하단 의견을 냈다. 이날 토론회에 참석한 최명기 대한민국산업현장교수단 교수는 “지반침하 피해를 줄이기 위해선 사전 예측이 중요한데 땅꺼짐은 지질상태나 굴착공사 진행 현황 등을 통해 예측 가능하다”며 “빅데이터나 인공지능(AI)기술을 통해 시민들에게 지반침하 예보나 전조 증상 등을 실시간으로 공개해 안심을 시켜줄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또 최 교수는 “계속되는 지반침하로 불안감이 높아 전조증상이 보이면 시민들이 신고를 하는데, 현재는 이를 무시하는 경향이 있다”며 “이는 시스템 부재를 넘어 컨트롤타워가 부재하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
이호 한국지하안전협회장도 “연도별로 140~190건씩 지반침하가 꾸준히 발생하는 상황에서 철저한 원인 규명과 감식을 책임을 가지고 이행 할 전문기구 설립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특히 이날 토론회에 참석한 많은 전문가와 관계자들은 지반침하의 주요 원인으로 ‘지하수 고갈’에 공감대를 형성하며 이를 관리할 법과 제도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김영근 한국건설안전환경실천연합 회장은 “지하수 부족으로 앞으로 전국적으로 땅꺼짐은 더 늘어날 것”이라며 “지하수 고갈의 원인은 지하수 유출인데 이에 대한 규제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으며 관리체계도 미흡하다. 촘촘한 법과 제도가 시급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조복래 지하공간연구소 소장도 “지반침하에 많은 원인이 지적되고 있지만 근본 원인은 지하수 고갈”이라며 “장기적으로 지하수를 적정한 수준으로 퍼낼 수 있는 기준을 제시해 이를 준수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