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한국에 대한 상호관세율이 25%라고 밝혔지만 이후 백악관이 공개한 행정명령 부속서에는 26%로 적시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대해 백악관은 행정명령 부속서에 표기된 26%가 맞다는 취지의 입장을 밝혔다.
|
2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이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열린 상호관세를 발표하는 과정에서 국가별 관세율이 적힌 설명 자료를 직접 들고 각 국가를 하나하나 짚어가며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행사에서 한국의 관세율을 직접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행사 때 제시한 자료에는 한국에 적용할 상호관세율이 25%로 표기돼 있었다.
백악관이 엑스(X·옛 트위터)를 통해 공개한 각국의 관세율 표에도 한국은 25%로 적시됐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의 행정명령 서명 이후 올라온 백악관이 공개한 상호관세 관련 팩트시트엔 한국에 부과되는 관세율은 26%로 기재됐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의 발표와 1%포인트 차이나는 수치다.
이러한 관세율 차이에 대해 백악관 측은 “행정명령 부속서에 표기된 수치(26%)를 따라야 한다고 밝혔다”고 연합뉴스는 전했다.
다만 이 당국자는 트럼프 대통령이 이용했던 자료와 행정명령 부속서에 한국의 상호관세율이 달리 표기된 이유에 대해선 설명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행정명령 부속서에는 한국 외에도 인도(26→27%), 스위스(31→32%), 남아프리카공화국(30→31%), 필리핀(17→18%), 파키스탄(29→30%), 세르비아(37→38%), 보츠와나(37→38%) 등도 트럼프 대통령이 행정명령 발표 당시 들고 있던 자료보다는 관세율이 1%포인트 높은 것으로 나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