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韓관세' 트럼프는 25%, 백악관 문서엔 26%…"행정명령 따라야"

이소현 기자I 2025.04.03 14:40:09

트럼프 설명자료와 백악관 부속서 불일치
백악관 "행정명령(26%) 수치 따라야"

[이데일리 이소현 기자] 미국 정부가 국가별 상호관세를 발표한 가운데 한국에 대한 관세율 수치가 달라 혼선을 빚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한국에 대한 상호관세율이 25%라고 밝혔지만 이후 백악관이 공개한 행정명령 부속서에는 26%로 적시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대해 백악관은 행정명령 부속서에 표기된 26%가 맞다는 취지의 입장을 밝혔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 백악관 로즈 가든에서 관세에 관한 연설을 하고있다. (사진=로이터)


2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이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열린 상호관세를 발표하는 과정에서 국가별 관세율이 적힌 설명 자료를 직접 들고 각 국가를 하나하나 짚어가며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행사에서 한국의 관세율을 직접 언급하지는 않았지만, 행사 때 제시한 자료에는 한국에 적용할 상호관세율이 25%로 표기돼 있었다.

백악관이 엑스(X·옛 트위터)를 통해 공개한 각국의 관세율 표에도 한국은 25%로 적시됐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의 행정명령 서명 이후 올라온 백악관이 공개한 상호관세 관련 팩트시트엔 한국에 부과되는 관세율은 26%로 기재됐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의 발표와 1%포인트 차이나는 수치다.

이러한 관세율 차이에 대해 백악관 측은 “행정명령 부속서에 표기된 수치(26%)를 따라야 한다고 밝혔다”고 연합뉴스는 전했다.

다만 이 당국자는 트럼프 대통령이 이용했던 자료와 행정명령 부속서에 한국의 상호관세율이 달리 표기된 이유에 대해선 설명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행정명령 부속서에는 한국 외에도 인도(26→27%), 스위스(31→32%), 남아프리카공화국(30→31%), 필리핀(17→18%), 파키스탄(29→30%), 세르비아(37→38%), 보츠와나(37→38%) 등도 트럼프 대통령이 행정명령 발표 당시 들고 있던 자료보다는 관세율이 1%포인트 높은 것으로 나와 있다.

트럼프 관세 전쟁

- 日 이시바, 트럼프와 내주 전화 협상…"보복 관세는 없어" - 트럼프 "베트남, 대미 관세 '0'으로 인하 의사 밝혀…협상 의지" - '관세 폭주' 본격 시작…美 보편관세 10% 정식 발효(종합)

배너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Not Author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