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리실은 물론, 이 경우 다시금 ‘대대행’ 체제를 맞아야 하는 기획재정부 등 공무원들 사이에선 “한 대행이 빨리 결정을 내려주지 않고 있어 답답하다”는 반응이 나오고 있다.
문화일보는 한 대행이 오는 29일 국무회의에서 권한대행이 대통령 몫의 헌법재판관 후보자를 지명할 수 없도록 하는 헌법재판소법 개정안에 대해 재의요구권(거부권)을 행사한 뒤 다음날 사퇴 및 대선 출마선언하는 방안을 유력 검토 중이라고 25일 보도했다. 본인이 주재한 국무회의 효력을 유지하기 위해 29일이 지난 후에 사임한다는 시나리오다.
한 대행은 6·3 대통령선거에 출마하려면 5월 4일까지는 사퇴해야 하는데, 이보다 빨리 대행직을 내려놓고 국민의힘과 후보 단일화를 위한 경쟁에 나설 수 있단 전망이다.
다만 총리실에선 “추측보도”라고 했다. 그러면서도 이를 부인하는 반박자료 등은 내놓지 않고 있다. 대선 출마 여부 등 한 대행의 정치적 결정에 관해선 명확한 의중을 알지 못한다는 게 총리실 관계자들의 전언이다.
한 대행이 대선 출마를 위해 사퇴한다면 대행, 대대행 사태 후 대행 체제로 돌아온 현 상황에서 다시금 최상목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의 대대행 체제가 되는 초유의 상황이 된다. 그럼에도 한 대행이 대선 출마에 이렇다할 분명한 입장을 내놓지 않고 한 대행 주변에선 ‘설’만 넘쳐나는 상황이 이어지면서 공직사회의 피로감도 커지고 있다.
정부 한 관계자는 “한 대행의 대선 출마설이 제기된 지가 언제인데 아직도 분명한 답을 않는지 모르겠다”며 “계엄과 탄핵 이후부터 리더십의 불확실성이 지속되니 피곤하다”고 토로했다. 다른 관계자는 “계엄 사태의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는 한 총리가 대선 출마를 저울질한다는 것도 넌센스”라며 “공무원들은 정치적 이슈에 휘말리고 싶지 않아 한다. 한 대행이 빨리 입장을 밝혀 어수선하고 혼란스러운 상황을 끝냈으면 좋겠다”고 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