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마켓인] S&P “현대·기아차, 美 관세에도 일정 수준 대응 여력 확보”

박미경 기자I 2025.04.15 13:33:39

“미국 자동차 관세, 현대·기아차 수익성에 부담”
“견조한 재무지표 고려시…신용등급 유지 여력 확보”

[이데일리 마켓in 박미경 기자]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수입 자동차와 부품에 25%의 관세를 부과함에 따라 현대·기아차의 수익성에 상당한 하방 압력이 가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다만 현대·기아차는 전반적으로 우수한 수익성과 견조한 미국 판매를 바탕으로 관련 위험을 적절히 관리해 나갈 것으로 내다봤다.

현대 수소전기차 ‘디 올 뉴 넥쏘’. (사진=현대차그룹)
15일 글로벌 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는 ‘한국 자동자 제조업체들은 미국 관세에 대한 높은 노출에 대해 완충 장치를 가지고 있다(Korea‘s Automakers Have Some Buffers Against Their High Exposures To U.S. Tariffs)’라는 보고서를 통해 이같은 내용을 밝혔다.

김제열 S&P 이사는 “미국의 자동차 관세는 현대·기아차의 수익성과 신용등급 유지 여력에 부담으로 작용할 전망”이라며 “미국은 2024년 양사 합산 글로벌 판매량의 약 26%를 차지하는 최대 시장이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미국 정부는 지난 3일부터 모든 수입 자동차에 25%의 관세를 부과하기 시작했으며, 자동차 부품은 오는 5월 3일부터 동일한 관세가 적용될 예정이다. 한편, 미국-멕시코-캐나다 협정(USMCA)을 준수하는 차량과 부품은 당분간 부분적인 면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현대·기아차는 미국 내 판매 차량의 60% 이상을 한국과 멕시코에서 수입하고 있다. 고관세 환경으로 인해 현대차그룹의 미국 현지로의 생산거점 전환 또한 가속화될 수 있다. 최근 조지아주에 신규 공장을 개소하는 등 그룹의 미국 현지 생산량 확대 계획은 관세 충격을 완화하는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김 이사는 “현대·기아차의 우수한 수익성과 견조한 재무지표를 고려할 때 일정 수준의 신용등급 유지 여력은 확보하고 있다고 판단된다”며 “하지만 관세 부담이 장기간 이어질 경우 하방 압력이 커질 수 있다”고 덧붙였다.

수익성 하락의 폭은 미국의 관세 정책, 경쟁업체들의 전략, 그리고 소비자의 수요 변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 관세의 지속 여부와 현대차그룹이 얼마나 신속하게 생산거점을 미국으로 전환할 수 있는지도 수익성 방어에 중요한 요인이다.

배너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Not Author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