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한투자증권 관계자는 “그동안 내부 회의체를 통해서 초대형 IB 진출 검토를 해왔다”며 “자격 요건을 갖췄기 때문에 이번에 도전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금융위원회는 지난 9일 ‘증권업 기업금융 제고방안’을 발표하면서 올해 3분기부터 자기자본 4조원(발행어음) 및 8조원(IMA·종합투자계좌) 종합금융투자사업자(종투사) 신청을 접수해 연내 지정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종투사 제도는 증권사 대형화를 도모하고 모험자본 공급을 확대하기 위해 마련됐다. 발행어음 사업을 하기 위해선 4조원의 자기자본 규모를 갖춰야 한다. 신한투자증권의 자기자본 규모는 지난해 말 기준 5조4945억원을 기록해 재무적인 요건을 갖췄다.
현재 발행어음 비즈니스를 영위 중인 증권사는 미래에셋증권, 한국투자증권, NH투자증권, KB증권 등 4곳이다.
일각에선 금융당국이 내년부터 종투사 지정 요건을 강화키로 하면서 신한투자증권이 연내 초대형 IB 인가 획득에 나선 게 아니냐는 분석도 제기된다. 금융당국은 내년부터 종투사 지정에 따른 신규 업무를 허용하는 과정에서 사업 계획과 제재 이력 요건을 신설하기로 했다.
신한투자증권 관계자는 “초대형 IB 준비는 내부통제 강화 기조하에 진행하는 것”이라며 “현재 최우선 과제는 내부통제”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