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가 지난해 1월 27일 선보인 기후동행카드는 지하철과 버스, 공공자전거 따릉이까지 하나의 카드로 무제한 이용할 수 있는 통합 대중교통 정기권이다. 출시 3개월 만에 100만장을 판매하며 ‘밀리언셀러 정책’이라는 별칭을 얻기도 했다.
시는 기후동행카드 출시 이후 시민의 요구를 반영해 김포, 남양주, 구리, 고양, 과천 등 수도권으로 사용지역과 범위를 넓혀왔다. 또 결제수단을 신용카드로 확대하고 후불형 카드도 출시하는 등 편의성 향상에 집중해 왔다.
또 본사업 이후에는 내·외국인 관광객과 단기 이용자를 위한 단기권(1·2·3·5·7일권)을 도입하고 서울대공원, 서울식물원, 서울달 등 주요 문화시설과의 연계 할인 혜택도 제공했다.
시는 본사업 이후 기후동행카드의 경제적·환경적 효과를 검증하고 지속 가능한 정책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전문기관을 통한 연구용역을 실시할 예정이다.
한편 기후동행카드의 혁신도 계속된다. 먼저 수도권으로 이용범위가 꾸준히 확대된다.
우선 5월 3일 성남시 구간 지하철에 기후동행카드가 적용되며, 하반기에는 하남시 및 의정부시 지하철에서도 기후동행카드를 사용할 수 있을 예정이다.
시는 앞으로도 더 많은 지역 시민이 혜택을 누릴 수 있도록 범위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올해 하반기부터 청소년, 다자녀 부모,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맞춤형 할인도 제공된다. 청소년 할인은 서울시 규제철폐안 91호로 추진되는 내용으로 만 13~18세 청소년들도 청년과 동일하게 7000원 할인된 가격(5만5000원·따릉이 포함 때 5만8000원)으로 30일권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다자녀 부모 및 저소득층 할인 역시 30일권에 한해 적용된다. 2자녀 부모의 경우 5만원대(5만5000원·따릉이 포함 때 5만8000원), 3자녀 부모 및 저소득층의 경우 4만원대(4만5000원·따릉이 포함 때 4만8000원)에 기후동행카드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디자인도 새로워진다. 5월부터 서울 교통 통합브랜드인 ‘GO SEOUL(고 서울)’을 적용한 신규 디자인을 선보일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