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신속대응시스템은 일반병동 입원환자 중 위험 징후를 보이는 환자를 조기에 발견하고 신속대응팀이 즉각 개입해 환자의 상태 악화를 예방하는 환자안전 관리체계다. 병원 전산시스템을 통해 고위험 환자를 미리 선별하고, 이들이 갑자기 상태가 나빠질 가능성을 파악해 모니터링한다. 이후 환자 상태가 급격히 악화하면 신속대응팀이 즉시 현장에 출동해 필요한 치료를 시작한다. 이러한 치료를 받은 환자는 급성 악화로 이어지지 않아 안정화 상태로 이어진다.
신속대응시스템은 중환자 전담 가능한 전문의와 전담 가능한 간호사 9명, 관련 장비 4종을 갖춰야 1군A로 분류된다. 여기서 인력·장비 기준과 운영시간 등에 따라 △1군B △2군 △2군B로 나뉜다. 이는 의료현장의 실제 운영여건을 고려해 의료인력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면서도 환자 안전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한 조치다.
이러한 의료자원 운영 효율화에 따라 시범사업 참여기관은 기존 45개소(상급종합병원 32개소, 종합병원 13개소)에서 55개소(상급종합병원 38개소, 종합병원 17개소)로 확대되었다. 새롭게 확대된 10개 기관 중 8개 기관은 현재 일부 기준을 충족하지 못했으나, 향후 6개월 내 모든 요건을 충족해야 최종 승인이 확정된다.
복지부는 이번 시범사업 확대를 통해 더 많은 환자가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조기 개입 혜택을 받아, 중환자실 입실률 감소, 병원 내 심정지 발생률 감소, 재원일수 단축 등 의료 질 향상과 함께 의료비 절감에 기여할 것으로 보고 있다.
신속대응시스템 3단계 시범사업이 완료(~27.12월)되면 복지부는 그간의 성과평가를 바탕으로 본사업으로 전환하는 방안을 검토한다. 본사업 추진 시에는 의사·간호사 팀 진료 등 의료기관 여건에 맞춰 인력 운영을 보다 탄력적으로 할 수 있도록 성과 지원을 강화하는 방식을 검토해나갈 예정이다.
이중규 복지부 건강보험정책국장은 “이번 시범사업 확대를 통해, 보다 더 많은 환자에게 더 안전하고 질 높은 입원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며 “앞으로도 환자의 안전을 강화하고, 이에 대한 의료진의 노력에 대해서는 합당한 보상을 할 수 있도록 하겠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