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중앙은행인 인민은행은 오는 21일 LPR을 결정할 예정이다. LPR은 중국의 공식 기준금리는 아니지만 신용대출(1년물)이나 주택담보대출(5년물) 금리의 기준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사실상 기준금리로 불린다.
인민은행은 LPR 1년 만기 3.1%, 5년 만기 3.6%를 지난달까지 5개월 연속 유지하고 있다. 시장에서는 인민은행이 이번에도 LPR을 유지할 것으로 예상하나 깜짝 인하가 이뤄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지금까지 인민은행이 LPR 인하에 신중했던 이유는 미국과 금리 격차가 확대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다.
인민은행이 LPR을 마지막으로 인하했던 지난해 10월만 해도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저금리 체제로 전환할 것이란 예측이 지배적이었다. 하지만 미국 인플레이션(지속적인 물가 상승)이 좀처럼 잡히지 않자 기준금리 인하 속도를 조절했고 중국도 이에 대응해 인하에 신중해졌다.
하지만 미국과 관세 전쟁으로 대외 경제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상황이 변하고 있다. 미국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중국에 145%의 관세를 부과했다. 특히 중국의 우회 수출을 염두에 두고 주요 무역국에도 상호관세를 예고한 상태다. 미국의 압박을 견디지 못한 중국의 교역국들이 대중 관세를 올리지 않을 것이란 보장이 없다.
관세 인상으로 수출 타격이 예상되자 인민은행은 최근 위안화 약세 정책을 만지작거리고 있다. 인민은행은 지난 18일 달러·위안화 환율을 7.2069위안으로 고시해 전일대비 0.0016위안 올렸다. 달러·위안화 환율을 높여 잡는다는 것은 그만큼 달러대비 위안화 가치를 절하한다는 의미다.
인베스팅닷컴에 따르면 18일 기준 달러·위안화 환율은 전날대비 0.0005원 오른 7.2995원이다. 중국이 위안화 절하 정책을 펼치면서 이달 9일에는 7.3499위안으로 2007년 이후 가장 높은 수준까지 치솟기도 했다.
|
중국이 위안화 가치를 낮추면 그만큼 수출기업들은 환율 측면에서 긍정적 효과를 입을 수 있다. 미국발 관세 충격을 위안화 절하로 상쇄할 수 있는 셈이다.
중국의 내수 활성화를 위해서도 금리 인하는 필수다. 중국은 대미 교역이 사실상 끊기게 되자 수출기업들의 내수 전환을 추진 중이다.
중국의 내수 시장은 규모가 크지만 아직 수요가 살아나지 않아 디플레이션(경기 침체 속 물가 하락) 위기가 계속되고 있다. 지난 2월과 3월에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두달 연속 마이너스(-) 상승률을 기록하기도 했다.
내수 수요를 살리기 위해선 금리를 낮춰 시중에 유동성을 푸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이미 중국은 지난달 양회 중 전국인민대표대회 업무보고에서 내수 활성화 방안으로 더 완화적인 통화정책을 제시했다. 인민은행이 이달 당장 LPR을 낮추더라도 인하 시기는 점차 다가오고 있다는 것이다.
중국 은하증권의 장 디 연구원은 “2분기 들어 중국 통화정책이 재정정책과 함께 상당한 완화 단계로 전환될 것으로 보인다”면서 “이달 정치국 회의쯤 지급준비율(RRR) 인하가 시행될 수 있고 LPR은 연준 추이를 확인한 후 5년물을 먼저 내려 자금 조달 비용을 줄일 수 있다”고 예측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