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일 ‘해방의 날’에 87개 교역국에는 11~50%에 달하는 상호관세를, 나머지 교역국에는 10% 기본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했다. 다만 관세에 대한 불확실성 때문에 국채시장이 급변하면서 트럼프 대통령은 한발 물러섰고, 90일동안은 중국을 제외한 모든 교역국에 10%의 기본 관세를 부과 중이다. 미국에 보복 공격을 한 중국에 대한 추가 관세율은 145로 대폭 상향했다.
이런 상황에서 미국에 판매되는 IT기기 가격 폭등 우려가 커졌다. 애플의 경우 상당제품을 중국에서 조립, 제조하는 데 이처럼 관세율이 올라가면 판매가격이 2배이상 늘어날 수밖에 없다. 아울러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를 비롯해 현지에 조립중인 TSMC·삼성전자 등 반도체 조립공장 역시 준공하기가 매우 까다로워진다. 트럼프 관세 정책이 오히려 미국 제조업 강화에 걸림돌이 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에 따라 미국은 일단 미국에 필요한 IT기기에 대해선 상호관세 면제조치를 내린 것으로 해석된다. 이번 조치는 삼성전자, 애플, 델, 엔비디아, TSMC, 삼성전자 등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블룸버그통신, 월스트리트저널(WSJ)을 비롯한 미국 언론은 전망했다.
다만 중국에 마약 문제로 부과한 20%의 관세율은 여전히 적용된다.
블룸버그통신은 또 이번 관세 면제가 영구적일 가능성은 낮다고 전했다. 이번 면제는 상호관세 외 특정 산업에 대한 품목별 관세가 중복 부과되지 않도록 한 초기 명령에 기반한 조치일 가능성이 있다는 판단에서다.
트럼프 대통령은 반도체에 별도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수차례 공언해왔다. 관세 부과를 통해 미국 내 반도체 공장을 확대하겠다는 취지다. 그간 알루미늄, 철강, 자동차 등 품목별 관세율을 25%로 설정한 만큼, 이와 비슷한 수준으로 책정될지 관심이 커지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