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068h
device:
close_button
X

트럼프 中104% 추가 관세 부과..최악으로 치닫는 미중 갈등

김상윤 기자I 2025.04.09 08:12:22

9일 오전 12시부터 관세율 추가…대중 관세율 평균 126%
수위 높아지는 트럼프 공격에도…중 "강력히 대응할 것"
골드만삭스 "추가 관세 효과는 줄어들 것..中GDP 0.9%p↓"

[뉴욕=이데일리 김상윤 특파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9일 오전 12시1분(미 동부시) 86개국에 11~50%의 상호관세를 예외없이 부과하기로 했다. 특히 보복공격을 단행한 중국에 대해서는 104%포인트(p)의 관세를 추가하기로 했다. 미국의 대중 평균 관세율은 무려 126%까지 치솟는다. 양측이 한발 물러설 기미가 전혀 보이지 않는 상황에서 미중간 무역갈등은 최악으로 치닫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국가주석 (사진=AFP)
미국 세관국경보호청(CBP)은 트럼프 대통령의 ‘해방의 날’(Liberation Day) 발표에 따라 9일 오전 12시1분부터 86개국에 대해 11~50%의 상호주의 기반 개별 고율 관세를 부과한다고 8일 밝혔다.

국가별 상호 관세율은 △한국 25% △중국 34% △ 유럽연합(EU) 20% △ 베트남 46% △ 대만 32% △ 일본 24% △ 인도 26% 등이다.

또 △ 태국에는 36% △ 스위스 31% △ 인도네시아 32% △ 말레이시아 24% △ 캄보디아 49% △ 영국 10% △ 남아프리카공화국 30% 등이 적용된다.

중국에 대해서는 관세율이 트럼프 취임이후 총 104%포인트가 상향된다. 마약문제에 따라 이미 10%포인트(p) 10% 두차례 관세율이 상향됐고, 상호관세율 34%p에 중국의 보복관세 50%p 까지 추가한 값이다. 미 씽크탱크 피터슨경제연구소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 취임전 미국의 대중 평균관세율은 22.1%인데 이를 더하면 중국에 대한 관세율은 무려 126.1%까지 치솟는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이후 중국을 계속 압박하며 관세율을 상향했지만, 중국은 전혀 협상에 나설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중국 상무부는 8일 성명을 통해 “미국의 50% 추가 관세 부과 위협에 단호히 반대한다”며 “미국이 관세 인상을 강행할 경우 자국의 권익 보호를 위해 강력히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상무부는 미국의 상호관세 정책이 “근거 없는 일방적 괴롭힘”이라고 규정하고, 자국의 대응은 “정상적인 국제무역 질서를 지키기 위한 정당한 조치이고 만약 미국측이 독자적인 길을 고집한다면 중국은 끝까지 대응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중국의 별다른 반응이 없는 상황에서 트럼프 행정부의 공격은 더욱 거세질 전망이다. 이날 스콧 베센트 미국 재무장관은 CNBC의 ‘스쿼크 박스(Squawk Box)’ 인터뷰에서 “중국의 보복 공격은 큰 실수였다”며 중국이 매우 불리한 게임을 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그는 “그들은 마치 (포커 게임에서) 투 페어 중에서도 가장 약한 ‘투(pair of twos)’로 승부를 보려는 셈”이라며 “중국이 우리에게 관세를 부과해봤자 우리가 잃을 건 거의 없다. 우리는 그들에게 수출하는 양이 그들이 우리에게 수출하는 양의 5분의 1밖에 안 된다. 즉, 중국이 불리한 게임을 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골드만삭스 이코노미스트들은 미국이 중국산 제품에 추가로 50%포인트 관세를 부과하는 것은 중국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에 점진적인 수준의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다. 골드만삭스는 “초기 50% 관세는 중국의 GDP를 1.5%포인트 감소시킬 것으로 보인다”며 “두번째 추가 50% 관세는 그 효과가 줄어들어 GDP를 추가로 0.9%포인트만 감소시킬 것으로 예상한다”고 진단했다.

주요 뉴스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상업적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

Not Authoriz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