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스코텍은 경영진과 소액주주 사이 갈등을 겪고 있다. 갈등의 원인은 오스코텍의 자회사 제노스코 상장 추진이다. 오스코텍은 2000년 미국에 자회사 제노스코를 설립했다. 현재 오스코텍은 제노스코의 지분 59.12%를 보유하고 있는데 별도의 파이프라인을 보유하고 있는 만큼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위해서는 상장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반면, 소액주주들은 제노스코의 상장이 오스코텍의 가치를 낮추는 ‘쪼개기 상장’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이들은 액트 앱을 통해 지분을 모으는 등 제노스코 상장 반대를 위한 적극적인 행동에 나서는 중이다. 소액주주들은 김정근 대표의 연임 저지를 1차 목표로 내세웠으며, 이날 열린 주주총회에서 김 대표 재선임 안건을 저지하기도 했다.
김 대표는 주총 이후 이어진 주주들의 제노스코 상장 진행 상황 및 철회 의견과 관련해 “아직까지 거래소에서 제노스코에 요구하는 자료가 있어 자료를 제출하는 중”이라며 “제노스코 상장과 관련해 의견은 낼 수 있지만 독립 법인인 제노스코의 이사회가 진행하고 있는 만큼 마음대로 철회할 수 없다”고 말했다.
한 소액주주는 “제노스코를 상장하는 방법 외 제노스코에 자금을 조달할 다른 방안은 없었나”고 물었고 김 대표는 “오스코텍을 통한 자금 조달, 오스코텍과 주식 스왑, 제3자배정 유상증자 등 다양한 방안도 살펴봤으나 모두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있었다”고 밝혔다.
먼저 제노스코를 상장하지 않고 오스코텍이 제노스코에 연구개발 자금을 대주는 것에 대해서는 유상증자 조달 당시 자금의 사용처를 밝히는 만큼 다른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입장이다. 또 제노스코 주식을 오스코텍 지분으로 전환하는 것은 좋은 선택이 될 수 있지만 오스코텍과 제노스코의 주식 가치를 맞추기가 현실적으로 어렵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렉라자를 통한 로열티로는 연구개발을 이어가기에 문제가 있다고 언급했다.
또 그는 “렉라자는 리브리반트 IV 제형 대비 부작용이 적은 SC 제형이 출시되는 시점부터 유의미한 수준의 로열티가 발생하고 피크 세일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당장 제노스코의 자금 문제를 해결해 줄 수 없다”고 설명했다.
끝으로 김 대표는 “제노스코의 상장이 실패한다면 자금 조달에 더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어떤 투자자가 ‘상장 실패’한 기업에 돈을 투자하려고 하겠느냐”며 “제노스코가 상장하더라도 주가가 빠지지 않을 것으로 자신한다. 쪼개기 상장이라는 주장은 한 유튜버의 의견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한편, 소액주주 연대 측은 “김 대표의 재선임 저지라는 1차 목표는 달성한 만큼 앞으로의 방향과 목표 등은 다시 한 번 정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